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Contents
(초록) 8
I. Introduction 10
II. Materials and methods 14
1. Materials 14
1-1. Plant material and extract procedure 14
1-2. Experiments animal 14
1-3. Experimental design 15
2. Method and analysis 17
2-1. Method of skin application 17
2-2. Analysi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and LDL contents 17
2-3. Protein analysis 17
2-4. Morphological changes 19
2-5. Statistical analysis 21
III. Results and discussion 22
1. Feed efficiency ratio 22
1-1. Body weight 22
1-2. Weight gain per day 22
1-3. FER 24
2. Serum levels of ethanol extract treatment groups 25
2-1. Total cholesterol levels 25
2-2. Triglyceride levels 25
2-3. HDL 25
2-4. LDL 25
3. Serum levels of water extract treatment groups 31
3-1. Total cholesterol levels 31
3-2. Triglyceride levels 31
3-3. HDL 31
3-4. LDL 31
4. Serum level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 treatment groups 36
4-1. Total cholesterol levels 36
4-2. Triglyceride levels 36
4-3. HDL 36
4-4. LDL 36
5. Liver and kidney weights 45
6. Protein analysis 46
6-1. Protein analysis of dry skin 46
6-2. Protein analysis of ethanol extract treatment group 48
6-3. Protein analysis of water extract treatment group 50
7. Skin observations 53
8.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skin 56
Summary 61
References 63
Fig. 1. Effect of EET on total cholesterol levels 28
Fig. 2. Effect of EET on triglyceride levels 29
Fig. 3. Effect of EET on HDL levels 30
Fig. 4. Effect of WET on total cholesterol levels 33
Fig. 5. Effect of WET on triglyceride levels 34
Fig. 6. Effect of WET on HDL levels 35
Fig. 7. Effect of EET and WET on total cholesterol levels 39
Fig. 8. Effect of EET and WET on triglyceride levels 40
Fig. 9. Effect of EET and WET on HDL levels 41
Fig. 10. 12%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of DSR group 47
Fig. 11. 12%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of ethanol extract treated group 49
Fig. 12. 12%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of water extract treated group 51
Fig. 13. Observations of the skin 54
Fig. 14. Histological change of epidermis (X20) 57
본 연구는 토마토 추출물의 건성피부에 대한 효능과 화장품의 재형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그 일환으로 주방세재로 유발된 건성피부에 토마토의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식이방법과 피부 도포방법으로 처리하여 그 유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에 비해 건성유발군은 식이섭취효율이 가장 낮고 일일체중증가량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식이와 피부 도포방법을 동시에 처리한 군을 제외한 모든 처리군의 식이효율이 건성유발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건성유발군에 비해 모든 물 추출물 처리군에서 triglyceride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모든 처리군 중 물 추출물 식이와 피부 도포방법을 동시에 처리한 군에서 LDL-cholesterol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물추출물 피부도포군에서 HDL-cholesterol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주방세제를 연속 처리한 건성유발 피부의 단백질 분석 결과에서 실험 3주 후부터 아무런 처리가 없어도 생체의 자가복구력에 의한 피부 단백질 복구 현상이 나타났다. 실험군의 단백질 분석결과 물추출물 처리군과 에탄올추출물 처리군 모두 식이방법을 통한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단백질의 복구현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물추출물 처리군에서 가장 대조군에 근접한 단백질의 복구현상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이 46,200∼18,500dalton의 범위에 속하는 단백질의 복구는 대조군과 거의 일치하였다.
4. 피부표면의 육안 관찰결과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보다 물추출물 처리군의 경우가 피부결의 안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5. 광학현미경을 통한 피부의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건성유발군은 과각화 현상과 염증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토마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피부결의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토마토 물 추출물 피부도포군이 피부 건조 유발 후 피부개선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건성피부에 대한 토마토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실험에서 토마토 물 추출물의 처리가 에탄올추출물의 처리 시 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건성피부를 위한 화장품의 재형으로서 유효 가치는 토마토 물추출물이 더 높다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추출물 성분 분석과 그 작용 기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