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가막만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자치어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 윤성민 인기도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8
청구기호
TM 639.2 ㅇ479ㄱ
형태사항
xiv, 172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68367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수산과학, 2006.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4

제1장 서론 17

제2장 재료 및 방법 20

1. 수질환경 20

2. 부유성 난 및 자치어 채집 21

3. 군집분석 25

4. 체장조성 25

제3장 결과 26

1. 수질환경 26

가. 수온 26

나. 염분 27

다. 수소이온농도(pH) 28

라. 용존산소(DO) 28

마. 화학적산소요구량(COD) 29

바. 부유물질(SS) 29

2. 부유성 난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31

가. 종조성 31

나. 양적변동 34

1) 2001년 34

2) 2002년 36

3) 2003년 38

4) 2004년 40

5) 2005년 42

다. 연도별 변동 44

3. 자치어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47

가. 종조성 47

1) 2001년 50

2) 2002년 51

3) 2003년 52

4) 2004년 53

5) 2005년 54

나. 월별 양적변동 55

1) 2001년 55

2) 2002년 57

3) 2003년 59

4) 2004년 61

5) 2005년 63

다. 정점별 양적변동 65

1) 2001년 65

2) 2002년 67

3) 2003년 69

4) 2004년 71

5) 2005년 73

라. 연도별 변동 75

4. 주요 출현 자치어의 체장조성 78

가.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 78

나. 망둑어과 어류 81

다.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84

라. 앞동갈베도라치(Omobranchus elegans) 87

5. 자치어 우점종의 연도별 분포양상 90

가. 청베도라치 90

나. 망둑어과 어류 92

다. 주둥치 94

라. 앞동갈베도라치 96

6. 자치어의 군집구조 98

가. 월별 98

1) 2001년 98

2) 2002년 101

3) 2003년 104

4) 2004년 107

5) 2005년 110

나. 정점별 113

1) 2001년 113

2) 2002년 116

3) 2003년 119

4) 2004년 122

5) 2005년 125

다. 연도별 128

제4장 고찰 131

감사의 글 144

참고문헌 146

(Abstract) 153

Appendix 157

Table 1. Sampling survey coordinates the quality of water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23

Table 2. Number of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egg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32

Table 3. Abundances of fish egg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33

Table 4. Mean proportion of fish eggs in Gamag Bay, 2001 35

Table 5. Mean proportion of fish eggs in Gamag Bay, 2002 37

Table 6. Mean proportion of fish eggs in Gamag Bay, 2003 39

Table 7. Mean proportion of fish eggs in Gamag Bay, 2004 41

Table 8. Mean proportion of fish eggs in Gamag Bay, 2005 43

Table 9. Number of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fish larva and juvenile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48

Table 10. Abundances of fish larvae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49

Table 11. Number of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fish larva and juveniles in Gamag Bay 2001 50

Table 12. Number of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fish larva and juveniles in Gamag Bay 2002 51

Table 13. Number of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fish larva and juveniles in Gamag Bay 2003 52

Table 14. Number of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fish larva and juveniles in Gamag Bay 2004 53

Table 15. Number of families, genera and species in fish larva and juveniles in Gamag Bay 2005 54

Table 16. The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larvae in Gamag Bay, 2001 56

Table 17. The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larvae in Gamag Bay, 2002 58

Table 18. The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larvae in Gamag Bay, 2003 60

Table 19. The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larvae in Gamag Bay, 2004 62

Table 20. The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larvae in Gamag Bay, 2005 64

Table 21. The list and individual numbers of fish larvae and juveniles collected at each station in Gamag Bay, 2001 (md./1,000m³) 66

Table 22. The list and individual numbers of fish larvae and juveniles collected at each station in Gamag Bay, 2002 (md./1000m³) 68

Table 23. The list and individual numbers of fish larvae and juveniles collected at each station in Gamag Bay, 2003 (md./1,000m³) 70

Table 24. The list and individual numbers of fish larvae and juveniles collected at each station in Gamag Bay, 2004 (md./1,000m³) 72

Table 25. The list and individual numbers of fish larvae and juveniles collected at each station in Gamag Bay, 2005 (md./1,000m³) 74

Table 26.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of fish eggs collected by bonggo net to those obtained from the other coastal waters of Korea 134

Table 27.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of larvae collected to those obtained from the other coastal waters of Korea 135

Fig. 1. Map showing the sampling station for water quality ichthyoplankton in Gamag Bay, Korea. 22

Fig. 2. Schematic diagram of bongo net(RN 80Net). 24

Fig. 3.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26

Fig. 4. Variations in salinity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27

Fig. 5. Annuer variations in number of species of the fishes collecte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45

Fig. 6. Monthly variations in number of species of the fishes collecte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45

Fig. 7. Annual variations in number of individuals of the fishes collecte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46

Fig. 8. Annual variations in number of species of fish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76

Fig. 9. Monthly variations in number of species of fish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77

Fig. 10. Annual variations in number of individuals of fish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77

Fig. 11. Total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of Parablennius yatabei by fish larvae and juvenile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80

Fig. 12. Total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of Gobiidae fish by fish larvae and juvenile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83

Fig. 13. Fork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of Leiognathus nuchalis by fish larvae and juvenile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86

Fig. 14. Total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of Omobranchus elegans by fish larvae and juvenile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89

Fig. 15. Annual distribution of the fish larvae of Parablennius yatabei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91

Fig. 16. Annual distribution of the fish larvae of Gobiidae fish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93

Fig. 17. Annual distribution of the fish larvae of Leiognathus nuchali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95

Fig. 18. Annual distribution of the fish larvae of Omobranchus elegans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97

Fig. 19. Monthly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1. 99

Fig. 20.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monthly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1. 100

Fig. 21. Monthly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2. 102

Fig. 22.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monthly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2. 103

Fig. 23. Monthly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3. 105

Fig. 24.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monthly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3. 106

Fig. 25. Monthly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4. 108

Fig. 26.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monthly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4. 109

Fig. 27. Monthly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5. 111

Fig. 28.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monthly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5. 112

Fig. 29. Stations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1. 114

Fig. 30.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stations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1. 115

Fig. 31. Stations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2. 117

Fig. 32.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stations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2. 118

Fig. 33. Stations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3. 120

Fig. 34.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stations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3. 121

Fig. 35. Stations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4. 123

Fig. 36.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stations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4. 124

Fig. 37. Stations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5. 126

Fig. 38.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stations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2005. 127

Fig. 39. Annual variations in diversity index,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of larvae collected Gamag Bay from 2001 to 2005. 129

Fig. 40. Dendrogram illustration the similarity of the each annual by number of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130

Fig. 41. Monthly variations in number of species of fish larvae collected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139

Fig. 42. Scattered diagram showing the sampling monthly of the I - II principle axes. They are determin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fish species composition collected by bongo net in Gamag Bay from 2001 to 2005. 142

Fig. 43. Scattered diagram of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s versus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regression was determined by a least square fit. 143

초록보기 더보기

전라남도 가막만 연안에서 자원생물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2001년부터 2005까지 5년 동안 표준넷트로 채집되는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종조성을 연구하고, 이들 종의 월별, 양적 변동, 주요어종의 체장조성 및 군집구조의 연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가막만에서 수온은 4월에 11.7 ~ 16.1℃, 7월에 20.6 ~ 30.0℃의 범위로 8.9 ~ 13.9℃의 차이를 보였으며, 담수의 유입이 많은 만의 제일 안쪽에 위치한 정점 1은 연구기간 동안의 수온범위가 11.6 ~ 29.8℃로 가장 변화가 컸으며, 만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정점 8의 수온범위는 11.5 ~ 26.3℃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염분은 4월에 31.2 ~ 35.5‰, 12월에는 29.1 ~ 34.0‰로 높았고, 7월에는 21.9 ~ 32.9‰였으며, 10월에는 24.3 ~ 32.0‰로 가장 낮았으며, 담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정점 1이 21.9 ~ 33.3‰로 가장 낮았고, 정점 5에서 24.3 ~ 3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 기간동안 정점별 염분분포의 변화는 내만과 근접한 정점 1, 2, 3, 및 4에서 21.9 ~ 35.4‰로 낮았고, 외해와 가장 근접한 정점 7, 8, 9 및 10에서는 24.3 ~ 35.5‰로 높았다.

수소이온농도(pH)는 4월 7.7 ~ 8.3, 7월 7.8 ~ 8.4, 10월 7.5 ~ 8.5, 12월 7.6 ~ 8.4의 범위로 나타나 10월과 12월에 비교적 정점별 차이 값이 컸고, 4월, 7월에는 적었다. 만 안쪽에 위치한 정점 1, 2, 3, 4와 5에서는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정점 6, 7, 8, 9 및 10에서는 유사한 수치로 나타났다.

용존산소량(DO)은 4월 6.1 ~ 7.8㎎/ℓ, 7월 5.9 ~ 7.6㎎/ℓ, 10월 6.0 ~ 8.2㎎/ℓ, 12월 6.4 ~ 9.8㎎/ℓ 범위로 나타나 4월에 정점별 차이 값이 적었고, 7월, 10월, 12월에 높게 나타났다. 만 안쪽에 위치한 정점 1, 2의 DO범위는 각각 5.9 ~ 8.7㎎/ℓ, 6.1 ~ 8.7㎎/ℓ로 가장 낮았고, 만의 바깥쪽에 위치한 정점 9, 10의 DO범위는 각각 6.1 ~ 9.8㎎/ℓ, 6.5 ~ 9.5㎎/ℓ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만 안쪽에 위치한 정점 1은 COD범위가 2.2 ~ 6.7㎎/ℓ으로 가장 높았고, 만의 바깥쪽에 위치한 정점 10의 COD범위는 1.4 ~ 3.0㎎/ℓ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유물질(SS)은 만 안쪽에 위치한 정점 1과 정점 2는 5.7 ~ 48.3㎎/ℓ, 5.7 ~ 41.7㎎/ℓ로 가장 낮았고, 만의 바깥쪽에 위치한 정점 10의 SS범위는 5.6 ~ 58.7㎎/ℓ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유성 난은 총 11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그 중 동갈양태속(Repomucenus) 어류의 난이 출현량의 34.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4월에는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7월에는 동갈양태속 어류, 10월에는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우점하였으며, 출현량은 7월에 가장 많았고, 12월에 가장 적었다.

자치어는 총 5목 15과 20속 26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그 중 농어목(Perciformes) 어류가 7과 14개 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월별 자치어의 출현은 10월에 5목 14과 21개 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많았고, 연구 기간 중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가 출현량의 17.5%를 차지하여 우점하였으며, 연도별 종조성 변화는 출현종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어 우점종인 청베도라치는 4월을 제외한 7월, 10월, 12월에 총 873.2 ind./1,000㎥가 출현하였고, 망둑어과(Gobiidae) 어류는 4월, 7월, 10월, 12월에 걸쳐 총 714.8 ind./1,000㎥가 출현하였으며, 주둥치는 4월, 7월, 10월, 12월에 걸쳐 총 509.6 ind./1,000㎥가 출현하였다. 앞동갈베도라치(Omobranchus elegans)는 연구기간 동안 4월에는 출현하지 않았고, 7월, 10월, 12월에 걸쳐 총 509.6 ind./1,000㎥가 출현하였다.

자치어의 연도별 군집구조 변화는 종 다양도 지수(H')가 1.791 ~ 2.328 범위로 2003년도에 가장 낮았고, 2005년도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우점도 지수는 0.369 ~ 0.598로 2003년도에 가장 높았고, 2005년도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종 다양도지수와 균등도지수와는 반대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연도별 군집의 유사도는 2002년도와 2003년도에 상대거리 차가 0.012에서 유집되어 군집상이 매우 유사하였으며, 다음은 2001년도와 2004년도에 상대거리 차가 0.171로 비교적 군집상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가막만은 수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온이 상승하는 7월과 10월에는 출현종과 출현개체수가 높게 나타나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 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 청보리멸(Sillago japonica), 갈기베도라치(Scartella cristata), 날망둑(Chaenogobius castaneus),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및 복섬(Takifugu niphobles)이 출현하였고, 수온이 낮은 저수온기인 4월과 12월에는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및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가 출현하여 소수의 회유성 어종과 연안 정착성어류들이 산란장, 성육장 및 색이장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염분은 수온과 반대의 양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4월과 12월에는 조피볼락, 노래미 및 쥐노래미가 출현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양환경변화에 따라 수산자원은 어획 및 자연사망, 개체의 성장과 재생산 등에 의하여 끊임없이 증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음을 고려할 때, 인위적 환경변화와 주변의 수하식 양식시설이 많은 가막만 해역의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수질환경 및 자원동태를 파악하고, 자원량이 감소하는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여 자원의 회복 및 관리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