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다수준 분석 / 이승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8
청구기호
TD 618.970231 ㅇ774ㄴ
형태사항
x, 12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67877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 2006.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감사의 글 9

논문개요 11

I. 서론 15

A. 연구의 필요성 15

B. 연구의 목적 18

C. 용어의 정의 19

1. 노인요양시설(Long-term care facility) 19

2.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19

3.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결정요인 20

II. 문헌고찰 22

A.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Nursing Home Quality Indicator) 22

B.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결정요인 29

1. 요양시설수준의 결정요인 29

2. 거주노인 수준의 결정요인 36

C. 다수준분석의 정의와 방법론적 특성 40

1. Null Mode 42

2. Random-Coefficient Regression Model 44

3. Intercepts and Slope as Outcomes model 49

4. 로지스틱 다수준 분석 52

D.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 54

III. 연구방법 55

A. 연구설계 55

B. 연구대상 55

C. 연구도구 56

1.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56

2. 일상생활수행능력 57

3. 인지기능 58

D. 연구절차 58

1. 예비조사(Pilot study) 58

2. 본 연구의 자료수집 60

E. 자료분석 방법 61

F. 연구의 제한점 61

IV. 연구결과 63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63

1. 노인요양시설의 일반적 특성 63

2. 노인요양시설의 질 관리 활동 특성 68

3.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일반적 특성 71

B. 연구변수에 대한 서술적 통계 79

1. 종속변수 79

2. 독립변수 80

3. 연구변수의 상관관계 82

C.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별 발생유무에 따른 영향검증 85

1) 일상생활수행능력 감소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 85

2) 인지기능 감소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 89

3) 요실금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 90

4) 요로감염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 91

5) 통증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 93

6) 욕창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 94

D.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대한 영향검증 96

1. Null Model 96

V. 논의 105

VI. 결론 및 제언 109

A. 결론 109

B. 제언 112

C. 연구의 의의 113

1. 간호실무 측면 113

2. 간호연구 측면 113

3. 간호이론 측면 114

참고문헌 115

〈부록〉 설문지 132

I. 거주노인 정보 133

II. 시설 정보 136

Abstract 139

〈표 1〉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28

〈표 2〉 측정도구에 대한 평가자간 신뢰도 결과 59

〈표 3〉 노인요양시설의 일반적 특성 (N=19) 63

〈표 4〉 노인요양시설의 직원관련 특성 (N=19) 64

〈표 5〉 노인요양시설의 프로그램 제공횟수 (N=19) 66

〈표 6〉 노인요양시설의 프로그램 유형 (N=19) 67

〈표 7〉 노인요양시설의 질 관리 활동 현황 (N=19) 68

〈표 8〉 설립목적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의 질 관리 활동차이 (N=19) 70

〈표 9〉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일반적 특성 (N=377) 72

〈표 10〉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N=377) 73

〈표 1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인지기능-기억력 정도 (N=377) 74

〈표 12〉 거주노인의 인지가능-의사결정 인지기술 정도 (N=377) 74

〈표 13〉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질병관련 특성 (N=377) 75

〈표 14〉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요양 관련 특성 (N=377) 77

〈표 15〉 시설설립목적에 따른 거주노인의 요양관련 특성 차이 (N=377) 78

〈표 16〉 거주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질 지표 점수 (N=377) 79

〈표 17〉 노인요양시설 질 지표별 발생 비율 (N=377) 80

〈표 18〉 거주노인수준 변수 (N=377) 81

〈표 19〉 요양시설수준 변수 82

〈표 20〉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 83

〈표 21〉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행렬 84

〈표 22〉 일상생활수행능력 감소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다수준 모형 87

〈표 23〉 일상생활수행능력 감소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다수준 분석결과: odds ratio 88

〈표 24〉 인지기능 감소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다수준 분석결과: odds ratio 89

〈표 25〉 요실금 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다수준 분석결과: odds ratio 91

〈표 26〉 요로감염 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다수준 분석결과: odds ratio 92

〈표 27〉 통증 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다수준 분석결과: odds ratio 93

〈표 28〉 욕창 유무에 대한 로지스틱 다수준 분석결과: odds ratio 95

〈표 29〉 Null Model(Random effects One-Way ANOVA Model) 결과 97

〈표 30〉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대한 Random Coefficient Model 결과 99

〈표 31〉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대한 Intercepts and Slope as Outcomes Model 101

〈표 32〉 질 관리 활동과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와의 관계에 대한 Intercepts and slope as outcomes model 103

초록보기 더보기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장기요양보호 노인 역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없는 노인인구의 증가, 가족형태의 변화로 인한 노인부양체제의 약화 등은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노인들이 노인요양시설에서 케어를 받게 될 것이다. 노인요양시설에서 제공되는 케어의 질은 거주노인의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Gina, 1999), 주요 선진국의 경우 질 향상을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욕창발생, 요실금, 요로계 감염 발생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매우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노인요양시설 서비스의 질 평가는 사회복지시설평가에 포함되어 무료와 설비 시설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앞으로는 공적노인수발보장제도의 실시 등으로 인해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노인요양시설의 질 평가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질을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관련변수들 간의 실증적인 인과적 관계 및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노인요양시설의 질을 거주노인의 일상생활수행 능력 감소, 인지기능 감소, 요실금, 요로감염, 통증, 욕창의 6개 지표의 유무에 따라 0-6점으로 측정하고 영향요인으로 5개의 거주노인수준 변수와 8개의 요양시설수준 변수를 설정하였다. 5개의 거주노인수준 변수에는 거주노인의 연령, 성별,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 질병이 포함되었고, 8개의 요양시설수준 변수에는 설립목적, 시설규모, 질 관리 활동, 프로그램, 간호사 수, 생활지도원 수, 간호사 이직율, 생활지도원 이직율이 포함되었다.

연구도구는 미국 메디케어메디케이드센터(CMS)에서 개발한 노인요양시설 질 지표와 MDS 2.0(너싱홈용)중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상태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30명 이상 규모의 노인요양시설에서 3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해 동의한 19개의 시설에서 정원의 30%를 표집하여 총 377명을 조사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4월 15일부터 6월 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9.0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요양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주요 연구 변수들 간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다수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거주노인수준과 시설수준이라는 2개의 수준으로 변수를 나누었으며 로지스틱 다수준분석 및 선형회귀 다수준분석법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다수준 분석 결과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의 차이는 주로 거주노인간의 차이로 인한 것이지만 요양시설간의 차이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속변수인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의 전체 분산변량 중 약 76.3%가 거주노인 수준에서 설명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약 23.7%의 분산이 시설수준에서 설명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거주노인수준 변수는 연령,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 연령, 질병이었다. 연령, 일상생활 수행능력감소, 인지기능손상이 증가할수록 거주노인의 요실금 비율이 증가 하였고, 질병수가 증가할수록 요로감염비율, 통증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연구와는 달리 요양시설수준 변수 중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요양시설수준의 변수가 거주노인수준의 변수와 상호작용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거주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요양시설수준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질 관리 활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질 관리 활동을 많이 하는 시설의 경우 그렇지 않은 시설에 비해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인요양시설의 질 저하에 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거주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질 관리 활동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케어계획과 만족도 조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케어계획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시설이 그렇지 않은 시설보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인요양시설의 질 저하에 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다수준 분석을 통해 제시한 연구로 거주노인의 심리정서적인 변화보다는 신체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를 위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지표를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한편 시설의 질 관리 활동을 측정하는데 있어 시설의 질 관리 정책과 전략, 인력관리, 케어영역별 구체적인 케어과정관리, 거주노인참여 등 질 관리활동의 보다 다양한 측면을 연구변수로 포함시키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요양시설의 정책과 케어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변수를 포함한 추후연구가 반복 수행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