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조선후기 인왕산 그림에 나타난 이기론 고찰 : 정선과 강희언의 작품을 중심으로 / 구본호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신라대학교 조형정보대학원, 2004.2
청구기호
TM 759.111 ㄱ413ㅈ
형태사항
i, 7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41312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신라대학교 조형정보대학원, 조형예술학, 2004.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5

2. 조선후기 화론과 이기론 10

(1) 조선후기 이전의 화론과 이기론 10

(2) 조선후기 화론 15

(3) 조선후기 이기론 20

3. 인왕산 그림에 나타난 이와 기 24

(1) 회화에서의 관조방식 24

1) 형식 24

2) 추측 28

(2) 회화에서의 이와 기 33

1) 회화에서의 이 35

2) 회화에서의 기 41

(3) 이기론의 관점에서 본 정선과 강희언의 인왕산그림 비교 47

1) 정선 48

2) 강희언 55

3) 이기론의 관점에서 본 인왕산그림 비교 60

4. 결론 65

참고문헌 69

도판목록 74

Abstract 80

〈도판 1〉 이상재, 〈송하보월도〉, 견본담채, 82.2 x 197cm, 국립중앙박물관. 75

〈도판 2〉 강희관, 〈고사관수도〉, 지본수묵, 15.7 x 23.4cm, 국립중앙박물관. 75

〈도판 3〉 정선, 〈인왕제색도〉 , 1751년, 견본담채, 138.2x79.2cm, 호암마술관. 75

〈도판 4〉 강희언, 〈인왕산도〉, 지본담채, 42.6 x 24.6cm, 개인소장. 75

〈도판 5〉 이경윤, 〈고토탁족도〉, 지본담채, 19.1x 27.8cm, 국립중앙박물관. 76

〈도판 6〉 이인상, 〈검선(선)도〉, 지본담채, 61.8 x 96.7cm, 국립중앙박물관. 76

〈도판 7〉 박제가, 〈목우도〉, 지본담채, 33.7 x 25.5cm, 서울 개인소장. 76

〈도판 8〉 정약용, 〈산수도〉, 지본담채, 33 x 26cm, 부산 동아대학교박물관. 76

〈도판 9〉 정선, 〈만폭도〉, 지본담채, 42.8 x 56.0cm, 간송미술관. 77

〈도판 10〉 김수철, 〈송계한담도〉, 지본담채, 44 x 33.lcm, 간송미술관. 77

〈도판 11〉 윤두서, 〈무송관수도〉, 견본수묵, 19.0 x 18.2cm, 광주 윤영선장. 77

〈도판 12〉 윤두서, 〈경답목우도〉, 견본수묵, 21 x 25cm, 광주 윤영선장. 77

〈도판 13〉 김윤겸, 〈몰운대〉, 지본담채, 37.1 x 28.6cm, 부산 동아대학교박물관. 78

〈도판 14〉 강세황, 〈대흥사〉, 지본담채, 53.4 x 32.8cm, 국립중앙박물관. 78

〈도판 15〉 김득신, 〈파적도〉, 지본담채, 27.1 x 22.5cm, 간송미술관. 78

〈도판 16〉 김득신, 〈대쾌도〉, 지본담채, 28.2 x 33.7cm, 간송미술관. 78

〈도판 17〉 신윤복, 〈리부탐춘〉, 지본담채, 35.2 x 28.2cm, 간송미술관. 78

〈도판 18〉 경북궁 경회루에서 바라본 인왕산 1967년 촬영(「겸재 정선」『한국의 미』1, 중앙일보, 1992, p.186). 79

〈도판 19〉 강희언, 〈북궐조무도〉, 지본담채, 21.5 x 26cm, 개인소장. 79

〈도판 20〉 현재의 인왕산 사진(2003년). 79

초록보기 더보기

In the period of Chosun, discussions about painting were closely related to the Doctrine of Li and Ch'i(理氣論), a main idea at that time. Without mentioning the theory,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the discussions. Jeonsin(傳神), saeui(寫意) and hyeongsa(形寫) frequently dealt with when discussing painting indicate that painting itself is the connection and expression of the mind under relations between li and ch'i.

When paintings of Mt. Inwang by Jung Sun and Kang Hee Eon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here on the Doctrine of Li and Ch'i(理氣論), one of the leading world-views throughout Chosun Dynasty, it is found that the two painters all followed the theory of ju-ch'i(主氣). But the two painters were different when li and ch'i implied in the paintings were analyzed. Jung Sun and Kang Hee Eon were not different in that both of them treated visible objects with their own sense which was related to li. The two painters saw the objects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s. In other words, the two painters were similar in that they had not their own way of seeing objects. But they were different in that Jung Sun emphasized yeonseup and Kang Hee Eon, spontaneity in painting. This led to differences in revelations from the painting between the two painters.

In art, li is like a rule regarding how it should be. So Jung Sun had his own frame unlike Kang Hee Eon. Jung Sun was accustomed to the science of divination. He sought to unite himself with Mt. Inwang as he resided near the mountain. It suggests that the painter performed jeonsin in the image of Mt. Inwang. Through painting the mountain, Jung Sun sought to show up his own emotion(spirit) and ultimately reach the state of li. In his painting of the mountain, Kang Hee Eon suggested his realistic and objective views that he got through experiences as a government official and through exchanges with Kang Se Hwang and Kim Hong Do. He always selected a motive through a scientific observation of objective phenomena prior to painting. His work was an expression of the life force which was based on the Doctrine of Li and Ch'i(理氣論).

In conclusion, Jung Sun focused on the theory of ju-li that emphasized the spirituality of the Orient, while Kang Hee Eon had his own view that oriented the theory of ju-ch'i beyond previous idea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