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문 4
I. 연구의 목표 및 필요성 14
1. 연구의 필요성 14
2. 연구의 목적 17
3. 연구 내용 18
가.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교류, 협력의 현황 파악 및 과학고/영재학교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사이의 연계 현황 파악 18
나.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사이의 교류, 협력 강화 방안 수립 18
다. 과학고/영재학교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연계 강화 방안 수립 18
4. 연구 방법 19
가. 문헌연구 및 실태조사 19
나. 심층 인터뷰 및 설문조사 19
Ⅱ. 사례연구 및 실태조사 20
1. 사례연구 20
가. 국내 대학 간 학점 교류 20
나. 해외 AP 제도 22
2. 실태조사 23
가. 과학고 교사 인터뷰 23
나. 전문가 인터뷰 35
다. 과학고 재학생 인터뷰 42
라. 과학고/영재학교 졸업생 설문조사 66
마. 과학고 졸업생 인터뷰 86
Ⅲ.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과학고/영재학교 교류 방안 108
1. 과학기술특성화 대학과 과학고/영재학교 간의 교류 필요성 108
2. 과학고/영재학교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의 교류 방안 112
가. 과학고/영재학교 심화학습 과정 개선: 대학과목 선이수제 개선안 112
1) 현행 AP 제도 운영 실태 114
2) 현행 AP 제도의 효과와 문제점 115
3) 과학고/영재학교와 과학기술특성화 대학 간의 대학과목 선이수 제도 개선 협력안 120
나. R&E (Research&Education) 프로그램 124
1) 현행 R&E 연구제도 운영 실태 및 문제점 125
2) R&E 연구제도 개선 방안 133
다. 교과 외 연계 프로그램 137
1) 진로 지도: 멘토링 프로그램 137
2) 리더십 신장 프로그램 140
Ⅳ.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의 교류 방안 143
1. 과학기술특성화 대학의 현황 143
가.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설립 및 발전 과정 143
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현재 147
다.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및 공통의 문제점 149
1) 외부적 문제 149
2) 내부적 문제 155
3)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의 필요성과 효과 157
2. 교류 방안 159
가. 단기 실행 계획 159
1) 디지털 교육시스템 공동 개발 159
2)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교환학생 및 교류 프로그램 활성화 167
3)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170
4) 융합형 주제에 대한 연구 지원 176
5) 과학기술특성화대학간 산.학 연계 활성화 179
6) 외국인/내국인 교원 정주 여건 공동 지원 180
나. 중장기 검토 과제 182
1) KAIST/POSTECH 을 거점으로 한 예과/본과 시스템 도입 182
2)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특화된 인문사회학 대학원 설치 183
3)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교원 교류 185
4) 라이선스(Licensing Administrator) 공동활용시스템 구축 186
Ⅴ. 결론 188
참고문헌 193
부록 197
[부록 1] 각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융합연구지원 현황 197
[부록 2]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융합연구소 현황 및 지원 계획 198
[부록 3] 전문가 인터뷰 199
[부록 4] 과학고 졸업생 대상 설문조사: 설문조사지 200
표 Ⅱ-1. 과학고 졸업생 대상 설문조사 응답자 분류 67
표 Ⅱ-2. 과학고 입학전 과학고에 대한 기대 69
표 Ⅱ-3. 과학고에 대한 기대와 실제 생활에의 차이 70
표 Ⅱ-4. 조기졸업의 장단점 72
표 Ⅱ-5. R&E 프로그램을 통해 배운점 74
표 Ⅱ-6. R&E 프로그램의 개선점 75
표 Ⅱ-7. R&E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 76
표 Ⅱ-8. AP/UP를 통해 도움 받은 점 77
표 Ⅱ-9. AP/UP의 문제점 78
표 Ⅱ-10. AP/UP에 참가하지 않은 이유 79
표 Ⅱ-11. 과학고 졸업생들이 참가한 대학 방문 및 체험 프로그램 80
표 Ⅱ-12. 과학고 졸업생들의 대학 방문 및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81
표 Ⅱ-13. 대학 방문 및 체험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이유 82
표 Ⅱ-14. 과학고 입학 초기 지망 대학 82
표 Ⅱ-15. 과학고 졸업생들의 대학 선택 기준 84
표 Ⅱ-16. 과학고 졸업생들의 대학 선택에 영향을 끼친 요인들 85
표 Ⅱ-17. 과학고 졸업생들의 재학 중인 대학에 대한 평가 86
표 Ⅲ-1. 2011년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입학생 중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 학생의 수 109
표 Ⅲ-2. 과학고/영재학교 졸업생 대학별 진학 현황 109
표 Ⅲ-3. 2012년 서울영재학교와 한국과학영재학교의 대학 진학 현황 110
표 Ⅲ-4. 과학고 출신 기업 진출 인력의 예 139
표 Ⅳ-1.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현황 (‘11. 3.) 148
표 Ⅳ-2. 국내외 주요대학의 교수 대 학생비율 현황 (‘11. 3) 148
표 Ⅳ-3. 과학기술특성화 대학 연구 실적 149
표 Ⅳ-4. 과학고ㆍ영재학교 졸업생 대학별 진학 현황 152
표 Ⅳ-5. 2011년 과학고 졸업생의 대학별 진로현황 154
표 Ⅳ-6. 과학영재학교 졸업생 대학별 진학 현황 155
표 Ⅳ-7. 각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별 특성화 분야 예시 159
그림 Ⅲ-1. 과학고/영재학교와 과학특성화 대학 간의 AP의 역할분담 121
그림 Ⅲ-2. 교과연계협의회의 업무 121
그림 Ⅲ-3. 과학고/영재학교와 과학특성화 대학 간의 R&E의 역할분담 134
그림 Ⅲ-4. 과학 상점 운영 방식 142
그림 Ⅳ-1. KAIST-서울대 1학년생 시간표 비교 156
그림 Ⅳ-2. 특성화 전략과 교류 방안의 상호작용 158
그림 Ⅱ-4. 노벨 재단의 Alfred Novel Symposium 2011년 포스터 177
그림 Ⅴ-1.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과학고/영재학교 간 연계 실행 로드맵 190
그림 Ⅴ-2.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 교류 실행 로드맵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