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9
제1장 들어가며 19
1. 연구의 배경 20
2. 연구의 목적 21
3. 연구의 범위와 구성 23
제2장 테마파크의 특성과 분류 26
1. 테마파크란? 27
2. 테마파크의 특성 28
가. 구조적 특성 28
나. 사업적 특성 30
3. 테마파크의 분류 32
가. 일반적 분류 32
나. 테마의 유사성에 의한 분류 33
제3장 경북의 관광 현황과 여건 분석 40
1. 관광지역 41
가. 관광지 41
나. 관광단지 42
다. 관광특구 42
2. 관광시설 44
가. 관광숙박시설 44
나. 관광객이용시설 44
다. 여행업 45
라. 관광홍보 및 안내소 46
마. 카지노 46
바. 골프장 47
3. 자연관광자원 47
가. 자연공원 47
나. 자연휴양림 49
다. 온천 50
라. 해수욕장 51
마. 관광농원 52
4. 전통문화자원 53
가. 문화재 53
나. 박물관 및 전시관 54
다. 전통사찰 56
라. 향교 및 서원 56
5. 관광상품 및 관광객 60
가. 축제·이벤트 60
나. 지역특산품 및 향토음식 62
다. 관광객 63
6. 종합 분석(SWOT 분석) 63
제4장 역사문화형 테마파크 개발사례 71
1. 테마파크 개발 현황 72
가. 세계 10대 테마파크 72
나. 우리나라의 테마파크 73
2. 세계의 역사문화형 테마파크 74
가. 폴리네시안 문화센터(Polynesian Cultural Center) 74
나. 닛코에도무라(日光江戶時代村) 75
다. 미들킹덤(Middle Kingdom) 76
라. 추쓰원화춘(九族文化村) 77
마. 제임스타운과 윌리암스버그(Jamestown & Williamsburg) 78
바. 기타 역사문화형 테마파크 79
3. 우리나라의 역사문화형 테마파크 81
가. 한국민속촌 81
나. 낙안읍성마을 83
다. 왕곡마을 85
라. 외암마을 87
마. 제주민속촌박물관 89
제5장 역사문화형 테마파크 개발방향 91
1. 테마파크 개발 전망 92
2. 왜 역사문화형 테마파크인가 95
가. 대표적 관광자원이 역사문화자원이다 95
나. 전통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접촉 공간이다 96
다. 지역문화와 밀착되어야 성공한다 97
라. 지역주민의 정서가 담긴 테마가 유용하다 99
3. 테마파크 대상지 및 테마의 검토 100
가. 양동마을 : “두 지성(知性)과의 만남” 101
나. 하회마을 : “산과 물, 사람과 자연의 조화” 104
다. 내앞마을 : “절제.극기의 선비정신” 106
라. 지례예술촌 : “전통과 예술의 만남” 109
마. 무섬마을 : “물위에 떠있는 섬” 111
바. 덕천마을 : “고대광실(高臺廣室)에서 하룻밤을” 113
사. 주실마을 : “명가(名家)의 터” 115
아. 괴시마을 : “황금해안에서의 전통체험” 117
자. 한개마을 : “충절의 선비문화 체험” 119
차. 기타 전통마을 121
4. 테마파크 개발 기본구상 125
가. 기본방향 125
나. 표적시장의 설정과 도입활동 128
다. 사업추진전략 132
5. 공간개발 및 기반시설 구축방향 135
가. 공간개발 및 동선체계 135
나. 토지이용 136
다. 시설배치 137
라. 조경 및 기반시설 138
제6장 나가며 140
1. 요약 및 마무리 141
2. 효과적 추진을 위한 제언 142
참고문헌 146
연구원 발간물 목록 147
[표 2-1] 테마파크의 분류 33
[표 2-2] 테마의 유사성에 의한 표현방법과 적용사례 36
[표 3-1] 경북의 관광지 지정 현황 41
[표 3-2] 경북의 관광단지 현황 42
[표 3-3] 경북의 관광특구 현황 43
[표 3-4] 시·군별 관광숙박업 등록 현황 44
[표 3-5] 시·군별 관광휴양시설 현황 45
[표 3-6] 경북의 여행업 현황 46
[표 3-7] 골프장 현황 47
[표 3-8] 국립공원 지정 현황 48
[표 3-9] 도립공원 지정 현황 48
[표 3-10] 군립공원 지정 현황 49
[표 3-11] 경북의 자연휴양림 현황 49
[표 3-12] 온천지구 지정 현황 51
[표 3-13] 해수욕장 현황 52
[표 3-14] 관광농원 현황 52
[표 3-15] 지정문화재 현황(2003.11.30.현재) 53
[표 3-16] 국공립박물관 현황 54
[표 3-17] 사립박물관 현황 54
[표 3-18] 대학박물관 현황 55
[표 3-19] 유물전시관 현황 55
[표 3-20] 전통사찰 현황 56
[표 3-21] 향교 현황 57
[표 3-22] 존속된 사액서원 현황 58
[표 3-23] 서원 현황 58
[표 3-24] 주요 향토문화축제 및 이벤트 현황 60
[표 3-25] 주요 지역 특산품 및 향토음식 현황 62
[표 3-26] 연도별 관광객 현황 63
[표 4-1] 세계 10대 테마파크 현황 72
[표 4-2] 한국민속촌의 민속관 전시내용 82
[표 5-1] 경북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슬로건 현황 96
[표 5-2] 표적시장의 설정과 서비스 유형 129
[표 5-3] 전통가옥의 관광시설 활용사례 131
[표 5-4] 테마파크의 도입활동 및 도입시설 132
[표 5-5] 사업추진 주체별 참여 유형 133
[표 5-6] 주요 공간별 식재 방향 139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25
[그림 2-1] 테마파크의 구조적 특성 29
[그림 2-2] 테마파크의 사업적 특성 31
[그림 3-1] 관광(단)지 및 관광특구 분포 현황 43
[그림 3-2] 소백산·주왕산국립공원, 문경새재·팔공산도립공원 47
[그림 3-3] 자연공원 및 주요 자연자원 분포도 50
[그림 3-4] 경북의 문화·관광 SWOT 분석 64
[그림 4-1] 닛코에도무라 조감도 75
[그림 4-2] 미들킹덤 조감도 77
[그림 4-3] 추쓰원화춘 조감도 78
[그림 4-4] 한국민속촌 배치도 82
[그림 4-5] 낙안읍성마을 전경 83
[그림 4-6] 낙안읍성마을 배치도 84
[그림 4-7] 왕곡마을 배치도 86
[그림 4-8] 왕곡마을 전경과 원형이 보존된 초가 87
[그림 4-9] 외암마을 전경 87
[그림 4-10] 외암마을 배치도 88
[그림 4-11] 제주민속촌박물관의 산촌, 중산간촌, 어촌 전경 90
[그림 5-1] 향후의 주요 테마파크 개발유형 전망 94
[그림 5-2] 양동마을 전경 101
[그림 5-3] 양동마을의 무첨당, 관가정, 향단 모습 102
[그림 5-4] 양동마을 배치도 103
[그림 5-5] 하회마을 전경 104
[그림 5-6] 하회마을의 고샅, 북촌댁, 양진당 105
[그림 5-7] 하회마을 현황도 105
[그림 5-8] 안과 밖에서 본 의성 김씨 종가 107
[그림 5-9] 내앞마을 현황도 108
[그림 5-10] 의성 김씨 종가 입구와 뒷마당 108
[그림 5-11] 지례예술촌의 고가 109
[그림 5-12] 지례예술촌 아래의 산과 호수 110
[그림 5-13] 무섬마을 전경 111
[그림 5-14] 무섬마을 현황도 112
[그림 5-15] 송소고택과 고택에서의 연주 장면 113
[그림 5-16] 송소고택 홈페이지 114
[그림 5-17] 주실마을 전경과 호은종택, 옥천종택 115
[그림 5-18] 주실마을 현황도 116
[그림 5-19] 물소와서당 주변의 괴시마을 117
[그림 5-20] 영양 남씨 괴시파종택, 해촌고택, 천전댁 118
[그림 5-21] 괴시마을 현황도 118
[그림 5-22] 한개마을 전경 119
[그림 5-23] 한개마을 현황도 120
[그림 5-24] 한개마을의 고택과 돌담길 121
[그림 5-25] 정용준씨 가옥과 함계정사 121
[그림 5-26] 점우당 122
[그림 5-27] 운강고택, 도일고택, 선암서원 전경 123
[그림 5-28] 닭실마을 현황도 124
[그림 5-29] 역사문화형 테마파크 개발이념 설정 개념도 125
[그림 5-30] 역사문화형 테마파크의 야외거리 예시도 126
[그림 5-31] 한국형 전통정원 중심의 정비 예시도 128
[그림 5-32] 테마파크의 도입활동 및 시설 결정 과정 130
[그림 5-33] 역사문화형 테마파크의 이미지 창출의 핵심 요소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