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조선시대에 명청의 수도 북경을 왕래한 외교 사절의 기행문 연행록에 실린 중국 연희 관련 기록을 대상으로 연희의 실상과 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희 관련 기사가 있어 분석 대상으로 삼은 연행록은 아래와 같다.
허봉(許?, 1511-1588) 조천록(朝天錄) 1574 선조 7 만력(萬曆) 2
이요(李?, 1622-1658) 연도기행(燕都紀行) 1656 효종 7 순치(順治) 13
최덕중(崔德中) 연행록(燕行錄) 1712 숙종 38 강희(康熙) 51
김창업(金昌業, 1658-1721) 연행일기(燕行日記) 1712 숙종 38 강희 51
이의현(李宜顯, 1669-1745) 경자연행잡지(庚子燕行雜識)1720 숙종 46 강희 59
홍대용(洪大容, 1731-1783) 을병연행록 1765 영조 41 건륭(乾隆) 30
이압(李??, 1737-1795) 연행기사(燕行記事) 1777 정조 1 건륭 42
박지원(朴趾源, 1737-1805) 열하일기(熱河日記) 1780 정조 4 건륭 45
정존겸(鄭存謙, 1722-1794) 연행일기(燕行日記) 1782 정조 6 건륭 47
서호수(徐浩修, 1736-1799) 연행기(燕行記) 1790 정조 14 건륭 55
김정중(金正中) 연행록(燕行錄) 1791 정조 15 건륭 56
서유문(徐有聞, 1762-1822) 무오연행록 1798 정조 22 가경(嘉慶) 3
이해응(李海應, 1775-1825) 계산기정(?山紀程) 1803 순조 3 가경 8
박사호(朴思浩) 심전고(心田稿) 1828 순조 28 도광(道光) 8
무명씨 부연일기(赴燕日記) 1828 순조 28 도광 8
김경선(金景善, 1788-1853) 연원직지(燕轅直指) 1832 순조 32 도광 12
서경순(徐慶淳, 1804-?) 몽경당일사(夢經堂日史) 1855 철종 6 함풍(咸豊) 5
조선의 외교 사절은 북경 및 연행 노정의 각지에서 연희를 관람하였다. 그들이 연희를 접한 행사는 궁정의 의전, 중국 아문의 접대, 사행단의 초청, 개인의 사적 관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희를 접한 장소는 북경의 시정과 연행 노정 각지의 이곳저곳, 황궁 및 원명원과 피서산장 행궁, 조선 사절의 관소인 회동관과 옥하관 등이다.
연희의 종류는 내용에 따라 연극류, 잡기류, 수희류, 폭죽등희류로 나누었고, 설행 장소에 따라서는 궁정 연희와 민간 연희로 나누었다. 연극류에는 명청대에 유행한 희곡인 전기와 각종 지방희, 영희가 있다. 잡기류에는 오늘날의 서커스에 해당하는 다양한 종목이 있다. 수희류는 개와 원숭이 등 짐승을 이용하는 재주이다. 폭죽등희류는 화약을 이용하는 불꽃놀이와 정월 대보름에 갖가지 등불을 걸고 즐기는 등불놀이이다.
명나라 때 북경을 왕래한 기행문에는 연희 관련 기록이 많지 않다. 허봉은 성리학적 가치에 근거하여 연희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청대에 북경을 다녀와 작성한 연행록에는 연희 관련 기록이 증가하고, 그에 대한 분명한 견해를 확인할 수 있다. 1712년에 연행한 김창업은 연희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관찰하고 기록하였으며, 이후 홍대용과 박지원 등은 일부 연희의 교화적 가치를 인정하기에 이른다. 따라서 병자호란 이후 북벌론에서 18세기 후반의 북학에 이르기까지 청조에 대한 태도의 변화는 연희에 대한 태도의 변화와 동궤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朝鮮時代的燕行錄裡?多關于中國表演藝術的記錄。本稿以這些記錄爲資料,分析當時中國表演藝術的具體樣相和朝鮮士人的受用態度. 被用作分析資料的燕行錄如下:
許?(1511-1588) 朝天錄 1574 宣祖 7 萬曆 2
李?(1622-1658) 燕都紀行 1656 孝宗 7 順治 13
崔德中 燕行錄 1712 肅宗 38 康熙 51
金昌業(1658-1721) 燕行日記 1712 肅宗 38 康熙 51
李宜顯(1669-1745) 庚子燕行雜識 1720 肅宗 46 康熙 59
洪大容(1731-1783) 乙丙燕行錄 1765 英祖 41 乾隆 30
李??(1737-1795) 燕行記事 1777 正祖 1 乾隆 42
朴趾源(1737-1805) 熱河日記 1780 正祖 4 乾隆 45
鄭存謙(1722-1794) 燕行日記 1782 正祖 6 乾隆 47
徐浩修(1736-1799) 燕行記 1790 正祖 14 乾隆 55
金正中 燕行錄 1791 正祖 15 乾隆 56
徐有聞(1762-1822) 戊午燕行錄 1798 正祖 22 嘉慶 3
李海應(1775-1825) ?山紀程 1803 純祖 3 嘉慶 8
朴思浩 心田稿 1828 純祖 28 道光 8
無名氏 赴燕日記 1828 純祖 28 道光 8
金景善(1788-1853) 燕轅直指 1832 純祖 32 道光 12
徐慶淳(1804-?) 夢經堂日史 1855 哲宗 6 咸豊 5
朝鮮使節團在北京和燕行經路的各地觀覽表演藝術。他們會觀覽表演藝術的行事有四種: 宮廷儀典, 中國衙門的接待, 使節團的邀請, 個人的遊覽。觀覽表演藝術的地方有幾種: 皇宮及行宮(圓明園和避暑山莊), 北京市井, 燕行經路的各地, 朝鮮使節的館所會同館或玉河館。表演藝術的種類以內容分爲演劇類、雜技類、獸?類、爆竹燈戱類; 以表演地方分爲宮廷表演藝術和民間表演藝術。
在明代的燕行錄裡不多關于表演藝術的記錄。許?根據性理學的價値觀否定表演藝術。在淸代的燕行錄裡增加關于表演藝術的記錄, 因而能看對表演藝術的分明態度。1712年, 金昌業熱情觀察而記錄當時的表演藝術。18世紀後半, 洪大容和朴趾源肯定表演藝術的文化的、政治的功能。從丙子胡亂直後的北伐論到18世紀後半的北學熱, 對淸朝的態度變化與對表演藝術的態度變化運行同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