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정조의 '호락논쟁' 주제에 관한 평가와 입장 분석 : 『근사록강의』와 『사서강의』 및 『일득록』 등을 중심으로 / 백민정 1
국문요약 1
1. 들어가는 말 3
2. 본연·기질 개념을 통한 인물성론의 해명 9
3. 낙론과 호론의 인물성 논쟁에 대한 평가와 입장 19
4. 성인범인심 동이 문제 혹은 미발심체의 순선 여부 29
5. 앎의 이치[智]와 지각 작용[知]에 관한 견해 41
6. 나가는 말 50
참고문헌 53
Abstract 58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 黃俊傑 [저] ;이선경 역 | pp.7-53 |
|
보기 |
17-18세기 中·韓 文人 間의 文化交流와 相互作用 現象 一考察 | 李學堂 ;牛林傑 | pp.55-86 |
|
보기 |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 :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 安大會 | pp.87-121 |
|
보기 |
星湖學派의『대학』해석 :星湖·貞山·茶山을 중심으로 | 崔錫起 | pp.123-159 |
|
보기 |
星湖學派의『孟子』 解釋 :君臣關係論의 경우 | 함영대 | pp.161-194 |
|
보기 |
正祖의 '湖洛論爭' 주제에 관한 평가와 입장 분석 :『近思錄講義』와『四書講義』및『日得錄』등을 중심으로 | 백민정 | pp.195-253 |
|
보기 |
19세기 '實事求是'의 다양한 층위와 학적 지향 | 최식 | pp.255-286 |
|
보기 |
楓石 徐有구의『金華耕讀記』 | 조창록 | pp.287-307 |
|
보기 |
沆瀣 洪吉周의 利用厚生論 :醫藥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 이홍식 | pp.309-338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弘齋全書 Ⅰ-Ⅴ, 文化財管理局 藏書閣 所藏本 影印, 태학사, 1996 | 미소장 |
2 | 국역 홍재전서 (제1권), 임정기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8 | 미소장 |
3 | 국역 홍재전서 (제6권), 김동현․조창래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8 | 미소장 |
4 | 국역 홍재전서 (제7권), 조명근․김능하․김종수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8 | 미소장 |
5 | 국역 홍재전서 (제8권), 김성애․박헌순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8 | 미소장 |
6 | 국역 홍재전서 (제9권), 박헌순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8~1999 | 미소장 |
7 | 국역 홍재전서 (제10권), 이규옥․김윤조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9 | 미소장 |
8 | 국역 홍재전서 (제11권), 박완식․심우섭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8 | 미소장 |
9 | 국역 홍재전서 (제12권), 장재한 譯, 민족문화추진회, 2000 | 미소장 |
10 | 국역 홍재전서 (제14권), 조순희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9 | 미소장 |
11 | 국역 홍재전서 (제16권), 박소동․조순희․김경희 譯, 민족문화추진회, 1999 | 미소장 |
12 | 국역 홍재전서 (제17권), 홍기은 外 共譯, 민족문화추진회, 2000 | 미소장 |
13 | 일득록, 정조대왕어록 , 남현희 역, 문자향, 2008 | 미소장 |
14 | 정조어찰첩 , 백승호․장유승 譯, 성균관대출판부, 2009 | 미소장 |
15 | 정조실록 , 국사편찬위원회, 1986 | 미소장 |
16 | 四書章句集註 , 朱熹 撰, 中華書局, 1983 | 미소장 |
17 | 農巖集 , 한국문집총간 161-162, 민족문화추진회, 1996 | 미소장 |
18 | 국역 농암집 , 강민정․송기채 譯, 민족문화추진회, 2001 | 미소장 |
19 | 南塘集 , 韓國儒學資料集成 卷二, 배종호 編, 연세대출판부, 1980 | 미소장 |
20 | 與猶堂全書 , 新朝鮮社本 影印本, 아름출판사, 2001 | 미소장 |
21 | 권오영(2003), 호락논변의 쟁점과 그 성격 , 조선 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 , 돌베개. | 미소장 |
22 | 18세기 洛論의 學風과 思想의 계승양상 | 소장 |
23 | 尙書講義를 중심으로 본 正祖의 經學사상 ![]() |
미소장 |
24 | 김문식(1996), 조선후기경학사상연구 , 일지사. | 미소장 |
25 | 徐命膺의 생애와 규장각 활동 | 소장 |
26 | 김문식(2007), 정조의 제왕학 , 태학사. | 미소장 |
27 | 김문식(2009)外 共著, 규장각: 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 서울대출판문화원. | 미소장 |
28 | 弘齋 正祖의 學問觀 | 소장 |
29 | 김태년(1993), 낙론계의 지각론 연구 , 고대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김태년 외 공저(2002), 지각 , 조선유학의 개념들 , 예문서원. | 미소장 |
31 | Political philosophy of King Jeongjoin the late Joseon Dynasty | 소장 |
32 | 김흥규(1981), 정조시대의 시경강의 , 한국학보 7, 일지사. | 미소장 |
33 | 문석윤(2006), 호락논쟁 형성과 전개 , 동과서. | 미소장 |
34 | 박광용(2003), 탕평론의 전개와 정국의 변화 ,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 태학사. | 미소장 |
35 | King Jeongjo&'s recognition on Neo-Confucian literati and it&'s historical meaning | 소장 |
36 | 正祖의 君師論 비판 : 초계문신제와 문체반정을 중심으로 | 소장 |
37 | 다산의 『중용강의(보)』조대 내용 분석 : 정조『경사강의·중용』어제조문 및 기타 조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소장 |
38 | Comparative Investigation into the philosophical viewpoints of Jungyagyong(丁若鏞) and Jungjo(正祖) about the text of Daehak ![]() |
미소장 |
39 | 백민정(2009), 맹자 해석에 나타난 정조의 사유경향 분석: 맹자강의 와 鄒書春記 를 중심으로 , 철학사상 34, 서울대철학사상연구소. | 미소장 |
40 | Analysis into the philosophical viewpoints of J?ngjo(正祖) about the text of Nono(論語) ![]() |
미소장 |
41 | 정조 연간 규장각의 『시경강의』에 관한 연구 | 소장 |
42 | 正祖 御製條問의 經學觀 : 『經史講義』, 大學條問을 중심으로 | 소장 |
43 | 안재순(1990), 韓國近世史에 있어서 正祖의 統治哲學에 關한 硏究 ,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4 | Special Edition : King Jeongjo`s View of the Occidental Science and Religion | 소장 |
45 | 유봉학(1999),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 신구문화사. | 미소장 |
46 | 유봉학(2009), 개혁과 갈등의 시대 , 신구문화사. | 미소장 |
47 | 湖洛論爭을 통해 본 철학논쟁의 사회정치적 의미 | 소장 |
48 | 이병찬(1994), 정조조의 시경강의 , 한문학논집 12, 근역한문학회. | 미소장 |
49 | 조선 성리학의 전통에서 본 송시열의 성리학 사상 | 소장 |
50 | 이봉규(1996), 송시열의 성리학설 연구 ,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1 | 이애희(1990), 조선후기 인성물성에 대한 논쟁의 연구 , 고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2 | 이천승(2006), 농암 김창협의 철학사상 연구 ,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53 | 이태진(1992), 정조의 大學 탐구와 새로운 君主論 , 李晦齋의 思想과 그 世界 , 성균관대출판부. | 미소장 |
54 | 전인식(1999), 이간과 한원진의 미발․오상 논변 연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5 | 정순우(2009), 영조 御製 自省編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대회논문집(2009년 8월). | 미소장 |
56 | 정옥자(1997), 조선후기 문화운동사 , 일조각. | 미소장 |
57 | 정옥자(1999), 조선후기 지성사 , 일지사. | 미소장 |
58 | 정옥자(1999) 外 共著,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 , 돌베개. | 미소장 |
59 | 정옥자(2000), 정조의 수상록, 일득록 연구 , 일지사. | 미소장 |
60 | 정옥자(2001),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 효형출판사. | 미소장 |
61 | 正祖의『論語』論.1,『魯論夏箋』을 중심으로 | 소장 |
62 | 조남호(2009), 조선후기 유학에서 허령지각과 지의 논변 , 철학사상 34, 서울대철학사상연구소. | 미소장 |
63 | 김창협학파의 양명학 비판 ![]() |
미소장 |
64 | A Study on Ho-Rak Controversy and Division of No-Ron in 18th Century ![]() |
미소장 |
65 | 조성산(2007), 조선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 지식산업사. | 미소장 |
66 | 茶山 人生·物性論의 思想史的 位相 ![]() |
미소장 |
67 | 湖洛論爭에 관한 硏究成果 분석 및 전망 | 소장 |
68 | 홍정근(2002), 호락논쟁에 관한 임성주의 비판적 지양 연구 ,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9 | 한영우(2008), 문화정치의 산실, 규장각 , 지식산업사. | 미소장 |
70 | 조선 실학시대 君臣間의 학문 활동 : 『詩經講義』를 통해 본 正祖와 丁若鏞의 경우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