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독일의 청정개발체계(CDM)에 관한 법률 / 이종영 1

Zusammenfassung 1

I. 들어가는 말 2

II. 청정개발체제의 배출감축인증 절차 6

1. 청정개발체제의 기능 6

2. 청정개발체제의 참여요건 6

3. 청정개발체제로 등록가능한 프로젝트 8

4. 자금 9

5. 집행이사회 9

6. 정부의 승인 10

7. 청정개발체제의 효과 12

III. 유럽연합의 프로젝트-메카니즘 지침 13

1. 연계지침의 제정 13

2. 배출거래와 프로젝트관련 메카니즘 간의 차별성 13

3. 연계지침의 내용 14

IV. 독일 프로젝관련 메카니즘법 15

1. 법률제정의 배경 15

2. 배출거래법의 개정법률 16

3. 프로젝트관련 메카니즘법의 내용 18

V. 맺는 말 - 전망과 시사점 20

참고문헌 23

초록보기

Der deutsche Gesetzgeber hat durch die Einführung des Projekt-Mechanismen-Gesetzes zum 30.9.2005 Instrumente geschaffen, die die Einbeziehung von Emissionsgutschriften aus den projektbezogenen Instrumenten Clean Development Mechanism und Joint Implementation in den Emissionshandel ermöglichen. Mit dem ProMechG sind dabei die Vorgaben der Eu-Richtlinie 2004/101/EG umgesetzt worden. Diese Richtlinie ergänzt die EH-Richtlinie und schaft die Grndlagen für die Nutzung von zertifizierten Emissionsre-duktionen (CER) und Emissionsreduktionseiheiten(ERU) im Emissionsahndelssystem der Eu.

Mlt den genannten Instrumenten CDM und JI besteht die Möglichkeit, Emissionsberechtigungen zu generieren. Sie gehören zu den im Koyto-Protokoll vorgesehenen flexiblen Instrumenten zum Klimaschutz und haben mit seinem inkrafttreten Anfang 2005 völkerrechtliche Verbindlichkeit erlangt.

Die speziellen Voraussetzungen zur Durchführung eines CDM-Projektes regeln §§ 8, 9 ProMechG. Danach hat das Projekt bestimmte Anforderungen zu erfüllen und bedarf der behördlichen Zustimmung. Unter anderem ist für das Projekt zunächst erforderlich, dass von einem Projekttrräger eine Projektdokumentation erstellt wird. Neben der Projektbeschreibung müssen dort Angaben zu den erwarteten Emissionsminderungen gemacht werden, wobei die Emissionen in der Ausgangssitutation und die Emissionen nach Projktumsetzung zu vergleichen sind. Damit ein CDM-Projekt überhaupt gonehmigungsfähig wird, muss im Projekt Design Document auf der Gnudlage dieses Vergleichs eine positive Emissionsr-eduktionsmenge dargelegt werden. Ein weiteres Element des PDD besteht in der Festlegung eines Monitoring-Plans.

Bei CDM-Projekten kann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nur als Investorstaat auftreten, das Projekt ist auf dem Staatsgebiet eines Entwiklungslandes. Hier hat DEHSt auf schriftlichen Antrag des Projektträgers die Zustimmung zu erteilen, wenn die mit dem Antrag vorzulegende Projektdokumentationen und sach und fachgerecht erstellte Validierungsbericht ergeben, dass die Projekttätigkeit eine zusätzliche Emissionsminderung erwarten lässt und die Projekttätigkeit keine schwer wiegenden nachtelilgen Umweltauswirkungen verursacht und der nachhaltigen Entwicklung des Gastgeberstaates in wirtschaftlicher, sozialer und ökologischer Hinsicht, insbesondere vorhandenen nationalen Nachhaltigkeitstrategien, nicht Zuwiderläuf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대 재산권 수용법리의 전개 : 미연방대법원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석인선 pp.1-30

보기
한국 국토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순탁 pp.31-53

보기
유비쿼터스도시에 관한 법적 고찰 손형섭 pp.55-76

보기
정당보상의 사례에 관한 연구 이상훈 ; 석호영 pp.77-94

보기
국가균형발전과 낙후지역 발전을 위한 입법적 방향 서보건 pp.95-111

보기
토지보상법상 도로부지에 대한 보상평가법리 연구 육정균 pp.113-129

보기
보상평가의 감정평가업자 선정제도 개선방안 허강무 pp.131-149

보기
통일과 북한지역의 토지정책 최철호 pp.151-175

보기
제주특별자치도특별법 개정 법률안의 주요내용과 과제 : 관광3법의 이양을 중심으로 고헌환 pp.177-197

보기
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金春煥 pp.199-227

보기
폐기물관리의 실효성 확보수단 송동수 pp.229-246

보기
환경보전을 위한 토지이용제한에 관한 소고 설계경 pp.247-265

보기
독일 물보호법의 현황과 시사점 金鉉峻 pp.267-293

보기
독일의 청정개발체계(CDM)에 관한 법률 이종영 pp.295-317

보기
일본의 규제영향평가와 규제에 대한 사전평가제도에 관한 고찰 장교식 pp.319-337

보기
독일의 비오연료촉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고찰 신옥주 pp.339-356

보기
이탈리아 도시부동산임대차특별법의 구조와 특성 소재선 pp.357-397

보기
프랑스 헌법재판소의 규범통제 박인수 pp.399-412

보기
민주적 정당성과 헌법재판제도 양충모 pp.413-427

보기
테러방지법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대성 pp.429-450

보기
학생인권과 학교자율화 정책에 대한 일고찰 이발래 pp.451-471

보기
프랑스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연구 이순우 pp.473-490

보기
간통죄의 위헌성에 대한 연구 : 헌법재판소 2008. 10. 30, 2007헌가17 결정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이희훈 pp.491-510

보기
유럽공동체법원과 유럽인권법원을 통한 유럽법의 국내법 질서로의 정착 전훈 pp.511-528

보기
공무원 임용시험 응시연령 제한의 위헌성검토 : 2007헌마1105 국가공무원법 제36조 등 위헌확인 사건을 중심으로 전학선 pp.529-548

보기
재외국민 선거권부여와 공직선거법 개정안에 관한 검토 정극원 pp.549-569

보기
헌법상의 혼인 및 가족에 관한 비판적 해석의 고찰 鄭永和 pp.571-591

보기
사이버모욕죄 발의와 표현의 자유 최경옥 pp.593-618

보기
2008년 프랑스 헌법개정에 관한 소고 한동훈 pp.619-641

보기
미국헌법과 혼인의 자유 허순철 pp.643-664

보기
국제수산기구에 있어서 어업실체의 법적 지위 : 대만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정갑용 pp.665-684

보기
인터넷광고의 자율규제모델에 관한 연구 지성우 pp.685-703

보기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체계 및 현황의 검토 정회근 ; 김훈 pp.705-733

보기
미국의 환경사법경찰 고문현 pp.735-752

보기
위임과 준용 이현수 pp.753-770

보기
지방재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 임현 pp.771-791

보기
환경보전을 위한 연안관리에 관한 법제적 연구 채우석 pp.793-808

보기
개인정보보호법 입법을 다시 거론하며 권헌영 pp.809-826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문준조,기후변화협약과 국내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999/12, 25면 이하 참조. 미소장
2 The Background and System of Greenhouse-Gas Emission's Right Transaction Regulations in Germany 소장
3 Adam, M.․Hentschke,H.․Kopp-Assenmacher,S., Handbuch des Emissionshandelsrechts, S.184 ff. 미소장
4 Bail, Ch., Das Klimaregime nach Kyoto, EuZW 1998, S.457 ff. 미소장
5 Bausch․Mehling, Klimagipfel in Montreal - Zweigleisig in die Zukunft, ZUR 2006, S.291 ff. 미소장
6 Ehrmann, M., Verknüpfung des Emissionshandels mit den flexiblen Mechanismen des Kyoto-Protokolls, et 2005, 38 ff. 미소장
7 ders., Das Internationale Klimaschutzregime nach Montreal, EurUP 2006, S.37 ff. 미소장
8 ders., Das ProMechG - Verknüpfung des europäischen Emissionshandels mit den flexiblen Mechanismen des Kyoto-Protokolls, EurUP 2005, 206 ff. 미소장
9 ders., Das ProMechG: Verknüpfung des europäischen Emissionshandels mit den flexiblen Mechanismen des Kyoto-Protokolls, in: M.Oldiges(Hrsg.), Immissionsschutz durch Emissionshandel - Zwischenbilanz, S.101 ff. 미소장
10 ders., Das ProMechG: Projektbezogene Mechanismen des Kzoto-Protokolls und europäischer Emissionshandel, ZUR 2006, 414 ff. 미소장
11 Hoffmann, J., Herausforderung Klimaschutz, S.57 ff. 미소장
12 Klemm, A., Das Klimaprotokoll von Kyoto, RdE 1998, S. 133 ff. 미소장
13 Kreuter-Kirchhof, Ch., Neue Kooperationsformen im Umweltvölkerrecht. Die Koyto Mechanismen,S.259 ff. 미소장
14 Reuter, A., Grund- und Grundrechtsmängel des CO2-Emissionshandels in der EU, RdE 2003, S.262 ff. 미소장
15 Sach, K.․Reese, M., Das Kyoto-Protokoll nach Bonn und Marrakesch, ZUR 2002, S.65 ff. 미소장
16 Schafhausen, F., Der Emissionshandel als klimaschutzpolitisches Instrument, ET 2002, S.563 ff.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