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1
제1장 서론 12
제1절 조사연구의 목적 12
제2절 조사연구의 범위와 방법 14
제2장 공공기관 자체감사의 현황과 감사전문성 16
제1절 공공기관 자체감사의 기능과 현황 16
1. 공공기관 자체감사의 기능과 유형 16
2. 공공기관 자체감사 운영원리와 현황 24
제2절 공공기관 자체감사의 전문성 34
1. 감사역량과 감사전문성 34
2. 감사전문성의 법령상 근거 41
3. 감사전문성 평가와 선행연구 비교 48
제3장 공공기관 자체감사의 전문성 인식 조사연구 53
제1절 조사연구 설계와 표본의 특징 53
1. 조사연구 설계 53
2. 조사연구 대상 57
3. 자료 분석 방법 58
4.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59
제2절 공공기관 자체감사의 전문성 인식 조사와 분석결과 61
1. 자체감사기구 감사인의 특성 61
2. 감사인의 선발과 배치에 관한 인식 66
3. 감사인의 전문성 강화 교육훈련에 관한 인식 73
4. 감사인의 학위 및 자격증 취득에 관한 인식 80
5. 외부전문가 활용에 대한 인식 87
6. 감사전문성 제고 방안에 대한 종합 인식 92
제4장 공공기관 자체감사 전문성 향상의 실제와 개선방안 104
제1절 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제 104
1. 선발을 통한 감사전문성 향상 104
2. 교육을 통한 감사전문성 향상 106
3. 자격증 취득을 통한 감사전문성 향상 109
4. 외부전문가 활용을 통한 감사전문성 향상 112
제2절 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116
제5장 결론 121
참고문헌 123
부록 126
Abstract 134
〈표 1〉 공공감사의 목적과 역할 변화 17
〈표 2〉 자체감사와 외부감사의 차이점 18
〈표 3〉 법규에 따른 감사의 종류 24
〈표 4〉 상임감사 평가 범주별 주요 평가내용 26
〈표 5〉 각기관 별 감사전담기구 설치현황 (2021년 말 기준) 27
〈표 6〉 감사대상기관 개수와 종사인원 추이 29
〈표 7〉 비리적발형 감사와 종합분석형 감사의 비교 31
〈표 8〉 「공공감사에관한법률」에 따른 감사종류 32
〈표 9〉 국내외 감사인력 역량모델의 역량군 구분 34
〈표 10〉 IIA의 자체감사 역량모형 35
〈표 11〉 INTOSAI 역량강화위원회의 감사역량모형 36
〈표 12〉 신 감사역량모형 38
〈표 13〉 「국가공무원법」의 관련 규정 42
〈표 14〉 「공무원임용령」의 관련 규정 43
〈표 15〉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등의 규정 44
〈표 16〉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자체감사기준」의 관련 규정 46
〈표 17〉 「공공기관 감사에 관한 법률」 등의 관련 규정 47
〈표 18〉 감사담당자 근무경력 현황('17.) 48
〈표 19〉 감사담당자 교육실시 현황('17.) 49
〈표 20〉 선행연구 비교 52
〈표 21〉 설문지 구성 57
〈표 22〉 감사인 및 최고감사인 표본집단 선정 58
〈표 23〉 감사인 배경 변인별 응답자 현황 59
〈표 24〉 최고감사인 배경 변인별 응답자 현황 61
〈표 25〉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인의 연령 간 연관성 62
〈표 26〉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인의 최종학력 간 연관성 63
〈표 27〉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인의 현업 근무경력 간 연관성 64
〈표 28〉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인의 감사기구 연속 근무경력 간 연관성 65
〈표 29〉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인의 감사업무 분야 간 연관성 66
〈표 30〉 소속기관 및 감사기구 직급별 최종학력 전공과 직무 관련성 차이 67
〈표 31〉 소속기관 및 직급별 감사업무 지원도 차이 68
〈표 32〉 소속기관 및 직급별 적성 및 직무능력 테스트 필요성 인식 차이 69
〈표 33〉 소속기관 및 직급과 적정 현업분야 근무기간 인식 간 연관성 70
〈표 34〉 소속기관 및 직급과 적정 감사업무 연속 근무기간 인식 간 연관성 71
〈표 35〉 소속기관 및 직급별 선발 기반 감사전문성 강화방안 인식 차이 72
〈표 36〉 소속기관 및 직급과 최초 감사업무 기초교육 여부 간 연관성 73
〈표 37〉 소속기관 및 직급과 주기적 감사전문성 강화교육 여부 간 연관성 74
〈표 38〉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업무 관련 학습동아리 활동 여부 간 연관성 75
〈표 39〉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인 교육 선호 기관 간 연관성 76
〈표 40〉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전문성 강화교육 이수시간 간 연관성 77
〈표 41〉 소속기관 및 직급별 감사전문성 강화교육 훈련 지원 수준 차이 78
〈표 42〉 소속기관 및 직급별 교육 기반 감사전문성 강화방안 인식 차이 79
〈표 43〉 소속기관 및 직급별 감사업무 관련 학위 취득 필요성 인식 차이 80
〈표 44〉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업무 관련 적정 학위수준 인식 간 연관성 81
〈표 45〉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업무 관련 필요 학위 분야 간 연관성 82
〈표 46〉 소속기관 및 직급별 감사업무 관련 자격증 취득 필요성 인식 차이 83
〈표 47〉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업무 관련 필요 자격증 분야 간 연관성 84
〈표 48〉 소속기관 및 직급별 국가공인자격증 신설 필요성 인식 차이 85
〈표 49〉 소속기관 및 직급별 학위·자격증 기반 감사전문성 강화방안 인식 차이 86
〈표 50〉 소속기관 및 직급과 감사자문위원회 인원수 간 연관성 87
〈표 51〉 소속기관 및 직급별 감사자문위원회의 분야별 외부전문가 구성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 88
〈표 52〉 소속기관 및 직급과 외부전문가 조력 횟수 간 연관성 89
〈표 53〉 소속기관 및 직급과 외부전문가 활용 방식 간 연관성 90
〈표 54〉 소속기관 및 직급별 외부전문가 활용 기반 감사전문성 강화 인식 차이 91
〈표 55〉 소속기관 및 직급별 감사인의 감사전문성 수준 인식 차이 92
〈표 56〉 소속기관 및 직급별 소속 자체감사기구의 감사전문성 수준 인식 차이 93
〈표 57〉 소속기관 및 직급별 부족한 감사 전문지식 분야 간 연관성 94
〈표 58〉 소속기관 및 직급과 자체감사기구 감사전문성 강화 영향요인 인식 간 연관성 96
〈표 59〉 소속기관 및 직급별 교육훈련 참여 결정 영향요인 인식 간 연관성 97
〈표 60〉 소속기관 및 직급별 교육훈련 기반 감사 실무역량 제고 간 연관성 98
〈표 61〉 소속기관 및 직급별 감사전문성 관련 감사원의 지원항목 간 연관성 100
〈표 62〉 감사전문성 강화방안 인식 수준이 감사인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101
〈표 63〉 감사전문성 강화방안 인식 수준이 자체감사기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102
〈표 64〉 감사교육원의 교육과정 107
〈표 65〉 자격증 종류의 구분 110
〈표 66〉 소관부처별 자격증 운영 현황 111
〈표 67〉 감사 관련 민간자격증 발급 현황 112
〈표 68〉 한국조폐공사의 감사자문위원회 구성 및 운용 기준 113
〈표 69〉 감사자문위원회 설치여부 및 활용정도 114
〈표 70〉 한국조폐공사 감사직무규정의 감사자문위원회 관련 조항 115
〈그림 1〉 자체감사의 역할 변화 19
〈그림 2〉 공공감사의 체계 20
〈그림 3〉 자체감사의 법률적 근거 21
〈그림 4〉 자체감사의 일반절차 33
〈그림 5〉 감사역량 모형(2013) 37
〈그림 6〉 연구 절차 54
〈그림 7〉 연구 분석 틀 55
〈그림 8〉 자체감사 전문성 강화와 감사역량 증진 방안 모델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