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16
I. 서론 18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II. 이론적 고찰 22
1. 사후평가 제도 22
(1) 국내 사후평가 22
(2) 해외 사후평가 23
(3)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 27
(4) 건설공사 사후평가 중 사업수행성과(국토해양부, 2015) 27
2. 국내·외 연구동향 30
(1) 건설공사 사후평가 30
(2) 공사비 35
(3) 공사기간 38
(4) 변경 / 입찰제도 40
III. 사업수행성과 데이터 분류 및 비교 42
1. 개요 42
(1) 데이터 분류 현황 42
(2) 데이터 분석 방안 47
(3) 통계기법 이론(이흥배, 2014) 48
2. 시설물 유형별 분석 50
(1) 시설물 유형별 공사기간 증감률 분석 50
(2) 시설물 유형별 공사비 증감률 분석 53
(3) 시설물 유형별 설계변경 증감률 분석 56
(4) 시설물 유형별 설계변경 금액 비율 분석 59
(5) 시설물 유형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분석 61
(6) 시설물 유형별 분석 소결 64
3. 국도, 지방도 분류 후 시설물 유형별 분석 67
(1) 시설물 유형별(국도, 지방도 분리) 공사기간 증감률 분석 67
(2) 시설물 유형별(국도, 지방도 분리) 공사비 증감률 분석 70
(3) 시설물 유형별(국도, 지방도 분리) 설계변경 증감률 분석 72
(4) 시설물 유형별(국도, 지방도 분리) 설계변경 금액 비율 분석 73
(5) 시설물 유형별(국도, 지방도 분리) 예측공사비 증감률 분석 76
(6) 시설물 유형별(국도, 지방도 분리) 분석 소결 78
4. 입찰방식에 따른 각 시설물 유형별 분석 80
(1) 입찰방식별 공사기간 증감률 분석 80
(2) 입찰방식별 공사비 증감률 분석 82
(3) 입찰방식별 설계변경 증감률 83
(4) 입찰방식별 설계변경 금액 비율 분석 85
(5) 입찰방식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87
(6) 입찰방식별 분석 소결 89
5. 공사성격에 따른 각 시설물 유형별 분석 91
(1) 공사성격별 공사기간 증감률 분석 91
(2) 공사성격별 공사비 증감률 분석 93
(3) 공사성격별 설계변경 증감률 분석 96
(4) 공사성격별 설계변경 금액 비율 분석 99
(5) 공사성격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분석 102
(6) 공사성격별 분석 소결 104
6. 공사규모에 따른 각 시설물 유형별 분석 107
(1) 공사규모별 공사기간 증감률 분석 107
(2) 공사규모별 공사비 증감률 분석 110
(3) 공사규모별 설계변경 증감률 분석 113
(4) 공사규모별 설계변경 금액 비율 분석 115
(5) 공사규모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분석 117
(6) 공사규모별 분석 소결 120
7. 국도, 지방도 공사규모 세분화에 따른 각 시설물 유형별 분석 123
(1) 국도, 지방도 공사규모별 공사기간 증감률 분석 123
(2) 국도, 지방도 공사규모별 공사비 증감률 분석 125
(3) 국도, 지방도 공사규모별 설계변경 증감률 분석 127
(4) 국도, 지방도 공사규모별 설계변경 금액 비율 분석 128
(5) 공사규모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분석 129
(6) 국도, 지방도 공사규모별 분석 소결 130
IV. 시설물별 성과지표 및 개선방안 133
1. 사업수행 성과지표 133
(1) 성과지표 133
(2) 공사비, 공사기간, 변경 관련 증감률 현황 134
(3) 공사비, 공사기간, 변경 관련 증감률 문제점 139
2. 개선사항 141
(1) 결과 데이터 세부 내용 입력 추가 141
(2) 시설물 및 공사특성별 재분류 142
(3) 데이터 신뢰성 확보방안 142
V. 결론 144
참고문헌 148
ABSTRACT 152
그림 1-1. 연구 순서 및 분석내용 21
그림 1-2. 건설공사 수행단계별 사후평가 절차 23
그림 1-3. CII Data Warehouse 운영 사이트 25
그림 3-1.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시설물 유형별 공사기간 증감률 51
그림 3-2.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시설물 유형별 공사비 증감률 54
그림 3-3.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설계변경 증감률 57
그림 3-4.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설계변경 금액 비율 60
그림 3-5.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시설물 유형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62
그림 3-6.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시설물 유형별 공사기간 증감률 68
그림 3-7.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시설물 유형별 공사비 증감률 70
그림 3-8.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설계변경 증감률 72
그림 3-9.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설계변경 금액 비율 74
그림 3-10.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시설물 유형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76
그림 3-11.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입찰방식별 공사기간 증감률 81
그림 3-12.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입찰방식별 공사비 증감률 82
그림 3-13.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입찰방식별 설계변경 증감률 84
그림 3-14.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입찰방식별 설계변경 금액 비율 86
그림 3-15.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예측공사비 증감률 88
그림 3-16.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성격별 공사기간 증감률 92
그림 3-17.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성격별 공사비 증감률 94
그림 3-18.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성격별 설계변경 증감률 97
그림 3-19.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성격별 설계변경 금액 비율 101
그림 3-20.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성격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103
그림 3-21.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별 공사기간 증감률 108
그림 3-22.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별 공사비 증감률 111
그림 3-23.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별 설계변경 증감률 114
그림 3-24.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별 설계변경 금액 비율 116
그림 3-25.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별 예측공사비 증감률 118
그림 3-26.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 공사기간 증감률 124
그림 3-27.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 공사비 증감률 125
그림 3-28.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 설계변경 증감률 128
그림 3-29.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 설계변경 금액비율 129
그림 3-30. Box-whisker Plot 및 4분위 값-공사규모 예측치와 실측치의 차이 130
그림 4-1. 도로의성과지표 133
그림 4-2. Box-whisker Plot 4분위 성과측정 지표 134
공공 건설사업은 계획단계에서 공사비와 공사기간의 정확한 추정이 사업 성공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2000년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 건설사업의 사업수행과정의 성과를 평가하여 매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공사비, 공사기간, 변경 성과의 기술통계만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성과에 대한 원인 규명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리고 현재 활용하고 있는 지표와 데이터에 대한 검증도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시공단계의 사업수행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공사비 증감률, 공사기간 증감률, 설계변경 증감률, 설계변경 금액 비율, 예측공사비 증감률 지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시설물별 성과와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CALS 데이터를 시설물 종류, 입찰방식, 공사성격, 공사규모로 분류하여 ANOVA 및 T-test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도로의 공사기간, 설계변경 증가율이 타 시설물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도로를 국도, 지방도로 구분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국도와 지방도는 공사비, 공사기간, 변경 성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문제점은 수집된 데이터만으로는 공사비 증감률 내에 설계변경 이외 요인에 대한 추가원인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성과지표 측정결과에 시설물과 공사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확한 성과측정을 위해 분류체계 수립이 필요하다. 또 공사비, 공사기간, 변경 중 일부 데이터의 미입력과 누락으로 성과지표는 측정이 불가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으로 첫 번째 결과데이터의 세부 내용 추가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내용은 도심지와 비도심지 지역으로 분류하고, 공사비와 공사기간의 작성기준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시설물과 공사특성별 분류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평가자료 Check List 개발과 데이터 오류 검토 비교표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설물과 공사특성에 따른 성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ANOVA 및 T-Test 검증을 통한 데이터 분류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현재 데이터를 활용한 성과측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는 개별 사업의 구체적 성과측정과 사업계획시 활용이 가능한 지표와 발전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한계는 제시된 개선방안을 적용한 시설물 분류와 성과지표를 측정하고 검증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추후 연구는 본 논문에서 도출한 개선 방안을 적용한 성과지표 측정 시스템의 개발과 검증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