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9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9
1.2. 연구범위 및 방법 21
II. 이론적 배경 24
2.1. 경관 색채 24
2.1.1. 도시경관 색채 24
2.1.2. 아파트 외부색채 26
2.1.3.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31
2.2. 아파트 외관 색채 연구동향 35
2.3. 재도장 아파트 색채계획의 이해 39
2.3.1. 재도장 아파트 개념 39
2.3.2. 재도장 아파트 색채 40
2.3.3. 재도장 아파트 색채계획 프로세스 40
2.3.4. 재도장 아파트 색채계획의 문제점 42
III. 재도장아파트 연도별 외부색채 현황 조사 및 분석 44
3.1. 조사 대상지 분류 선정 44
3.2. 색채 분류 45
3.3. 재도장 현장별 분석 46
3.3.1. 2000년대 47
3.3.2. 2010년 초반대 54
3.3.3. 2010년 후반대 62
3.3.4. 2020년대 72
3.4. 재도장 연도별 결과 80
3.5. 소결 85
IV. 설문조사 및 연구 결과 86
4.1. 연구 범위 86
4.1.1. 설문 구성 색 선정 88
4.1.2. 설문 구성 배색디자인 선정 95
4.2. 설문 대상 및 분석방법 97
4.3. 조사 결과 99
4.3.1. 피험자 분석 99
4.3.2. 자연경관 100
4.3.3. 수변경관 108
4.3.4. 역사문화경관 분석 116
4.3.5. 시가지경관 분석 124
4.4. 종합 결과 132
4.4.1. 재도장아파트 관심도 132
4.4.2. 경관별 보조색 결과 133
4.4.3. 경관별 강조색 결과 137
4.4.4. 경관별 색채디자인 결과 이미지 140
4.5. 소결 141
V. 결론 143
5.1. 종합 결과 143
5.1.1. 재도장 아파트 연도별 외부색채 현황 분석 143
5.1.2. 서울시 색채가이드에 따른 경관별 색채 및 배색디자인 145
5.1.3. 현장 사례 151
5.2. 제언 153
참고문헌 155
부록 159
ABSTRACT 166
〈표 2-1〉 1960년대-1970년대 아파트 이미지 27
〈표 2-2〉 1980년대-1990년대 아파트 이미지 28
〈표 2-3〉 2000년대-2010년대 아파트 이미지 29
〈표 2-4〉 2010년대-2020년대 아파트 이미지 30
〈표 2-5〉 경관별 권장색채 범위 34
〈표 2-6〉 아파트 외관 색채 연구동향 36
〈표 2-7〉 재도장시 사전 고려사항 39
〈표 2-8〉 재도장 색채디자인 프로세스 41
〈표 2-9〉 재도장아파트 문제점 사례 43
〈표 3-1〉 2000년대 현장분석 47
〈표 3-2〉 2000년대 색상빈도 52
〈표 3-3〉 2000년대 명도빈도 52
〈표 3-4〉 2000년대 채도빈도 52
〈표 3-5〉 2010년 초반대 현장분석 54
〈표 3-6〉 2010년 초반대 색상빈도 60
〈표 3-7〉 2010년 초반대 명도빈도 60
〈표 3-8〉 2010년 초반대 채도빈도 60
〈표 3-9〉 2010년 후반대 현장분석 62
〈표 3-10〉 2010년 후반대 색상빈도 70
〈표 3-11〉 2010년 후반대 명도빈도 70
〈표 3-12〉 2010년 후반대 채도빈도 70
〈표 3-13〉 2020년대 현장분석 72
〈표 3-14〉 2020년대 색상빈도 78
〈표 3-15〉 2020년대 명도빈도 78
〈표 3-16〉 2020년대 채도빈도 78
〈표 3-17〉 주조색 색상빈도 81
〈표 3-18〉 주조색 명도빈도 81
〈표 3-19〉 주조색 채도빈도 81
〈표 3-20〉 보조색 색상빈도 82
〈표 3-21〉 보조색 명도빈도 82
〈표 3-22〉 보조색 채도빈도 82
〈표 3-23〉 강조색 색상빈도 83
〈표 3-24〉 강조색 명도빈도 83
〈표 3-25〉 강조색 채도빈도 83
〈표 3-26〉 색상 분포도 84
〈표 3-27〉 명/채도 분포도 84
〈표 4-1〉 경관별 권장색채사용 범위 90
〈표 4-2〉 재도장아파트 배색디자인 분류 95
〈표 4-3〉 설문조사 피험자 분석 99
〈표 4-4〉 자연경관에 조화로운 외부 보조색 100
〈표 4-5〉 자연경관 Y계열 보조색 피험자 분석 100
〈표 4-6〉 성별에 따른 자연경관 보조색 101
〈표 4-7〉 연령에 따른 자연경관 보조색 101
〈표 4-8〉 자연경관에 조화로운 외부 강조색 102
〈표 4-9〉 자연경관 강조색 피험자 분석 102
〈표 4-10〉 성별에 따른 자연경관 강조색 103
〈표 4-11〉 연령에 따른 자연경관 강조색 104
〈표 4-12〉 자연경관 Basic 배색 피험자 분석 106
〈표 4-13〉 성별에 따른 자연경관 배색디자인 106
〈표 4-14〉 연령에 따른 자연경관 배색디자인 107
〈표 4-15〉 수변경관에 조화로운 외부 보조색 108
〈표 4-16〉 수변경관 N계열 보조색 피험자 분석 108
〈표 4-17〉 성별에 따른 수변경관 보조색 109
〈표 4-18〉 연령에 따른 수변경관 보조색 109
〈표 4-19〉 수변경관에 조화로운 외부 강조색 110
〈표 4-20〉 수변경관 강조색 피험자 분석 110
〈표 4-21〉 성별에 따른 수변경관 강조색 111
〈표 4-22〉 연령에 따른 수변경관 강조색 112
〈표 4-23〉 수변경관 Stripe 배색 피험자 분석 114
〈표 4-24〉 성별에 따른 수변경관 배색디자인 114
〈표 4-25〉 연령에 따른 수변경관 배색디자인 115
〈표 4-26〉 역사문화경관에 조화로운 외부 보조색 116
〈표 4-27〉 역사문화경관 R계열 보조색 피험자 분석 116
〈표 4-28〉 성별에 따른 역사문화경관 보조색 117
〈표 4-29〉 연령에 따른 역사문화경관 보조색 117
〈표 4-30〉 역사문화경관에 조화로운 외부 강조색 118
〈표 4-31〉 역사문화경관 강조색 피험자 분석 118
〈표 4-32〉 성별에 따른 역사문화경관 강조색 119
〈표 4-33〉 연령에 따른 역사문화경관 강조색 120
〈표 4-34〉 역사문화경관 Basic 배색 피험자 분석 122
〈표 4-35〉 성별에 따른 역사문화경관 배색디자인 122
〈표 4-36〉 연령에 따른 역사문화경관 배색디자인 123
〈표 4-37〉 시가지경관에 조화로운 외부 보조색 124
〈표 4-38〉 시가지경관 N계열 보조색 피험자 분석 124
〈표 4-39〉 성별에 따른 시가지경관 보조색 125
〈표 4-40〉 연령에 따른 시가지경관 보조색 125
〈표 4-41〉 시가지경관에 조화로운 외부 강조색 126
〈표 4-42〉 시가지경관 강조색 피험자 분석 126
〈표 4-43〉 성별에 따른 시가지경관 강조색 127
〈표 4-44〉 연령에 따른 시가지경관 강조색 128
〈표 4-45〉 시가지경관 Basic 배색 피험자 분석 130
〈표 4-46〉 성별에 따른 시가지경관 배색디자인 130
〈표 4-47〉 연령에 따른 시가지경관 배색디자인 131
〈표 4-48〉 재도장아파트 관심도 132
〈표 4-49〉 경관별 조화로운 외부 보조색 계열 133
〈표 4-50〉 성별에 따른 보조색 결과 134
〈표 4-51〉 연령에 따른 보조색 결과 136
〈표 4-52〉 경관별 조화로운 외부 강조색 계열 137
〈표 4-53〉 성별에 따른 경관별 강조색 결과 138
〈표 4-54〉 연령에 따른 경관별 강조색 결과 139
〈표 5-1〉 재도장 아파트 연도별 외부색채 현황 분석 결과 144
〈표 5-2〉 자연경관 분석 종합 결과 145
〈표 5-3〉 수변경관 분석 종합 결과 146
〈표 5-4〉 역사문화경관 분석 종합 결과 147
〈표 5-5〉 시가지경관 분석 종합 결과 148
〈표 5-6〉 경관별 배색이미지 종합 결과 149
〈표 5-7〉 자연경관에서의 적용사례 152
〈그림 1-1〉 연구 흐름도 23
〈그림 2-1〉 도시경관의 구성요소 25
〈그림 2-2〉 색채 추출과정 32
〈그림 3-1〉 NCS COLOURPIN 45
〈그림 3-2〉 아파트 색채 분류 45
〈그림 3-3〉 2000년대 색채분포 53
〈그림 3-4〉 2010년 초반대 색채분포 61
〈그림 3-5〉 2010년 후반대 색채분포 71
〈그림 3-6〉 2020년대 색채분포 79
〈그림 4-1〉 연구 도식화 87
〈그림 4-2〉 보조색 추출범위 92
〈그림 4-3〉 강조색 추출범위 94
〈그림 4-4〉 아파트 배색방식 유형 이미지 96
〈그림 4-5〉 아파트 배색 이미지 96
〈그림 4-6〉 설문지 문항 98
〈그림 4-7〉 선정된 강조색 명·채도 분포 137
〈그림 4-8〉 경관별 결과 이미지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