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0
제1장 서론 12
1.1. 연구 배경 13
1.2. 연구 목적 15
1.3. 연구 범위 및 방법 16
제2장 이론적 고찰 17
2.1. 가상 인플루언서의 관한 이해 18
2.1.1. 가상 인플루언서 개념 및 정의 18
2.1.2. 미디어 환경에 변화와 인플루언서의 등장 19
2.1.3. 가상 인플루언서 사례 20
2.1.4. 가상 인플루언서 광고 사례 29
2.1.5. MZ세대 수용자 특성 33
2.2. 가상 인플루언서 선행 연구 35
2.3.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 39
2.3.1. 호기심(Curiosity) 39
2.3.2. 실재감(Reality) 40
2.3.3. 매력성(Attractiveness) 41
2.3.4. 상호작용(Interaction) 41
2.3.5. 신뢰성(Credibility) 42
2.4.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 43
제3장 연구 방법 45
3.1.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46
3.1.1. 연구 방법 및 대상 46
3.2.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본 가상 인플루언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47
3.2.1. 연구 방법 및 대상 47
3.2.2. 이해관계자 정의 48
3.2.3. 수용자 설문조사 48
3.2.4. 전문가 인뎁스 인터뷰 49
제4장 사례연구 51
4.1.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52
4.1.1. 페르소나 분석 요소 52
4.1.2. Five-Factor Model 성격 분류 53
4.1.3. 가상 인플루언서 페르소나 인식 요소 평가 54
4.1.4. 가상 인플루언서 페르소나 인식 요소 평가 논의 및 결론 56
4.2.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본 가상 인플루언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57
4.2.1. 수용자 설문조사 분석 57
4.2.2. 콘텐츠 제작자 인터뷰 분석 60
4.2.3. 광고주 인터뷰 분석 66
4.2.4. 이해관계자 프레임워크 제안 및 결론 71
제5장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디자인 요소 제안 74
5.1. 캐릭터의 정체성을 위한 요소 75
5.2. 비언어적 행동 분류 관점의 디자인 요소 분석 77
5.3.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 제안 78
제6장 결론 및 의의 79
6.1. 연구 결론 및 연구 의의 80
6.2.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82
참고 문헌 83
Abstract 88
부록 90
[표 2-1] 인플루언서 구분(인플루언서 마케팅 자료 재구성) 20
[표 2-2] brud 소속 가상 인플루언서 22
[표 2-3] Aww.Inc 소속 가상 인플루언서 24
[표 2-4] Sidus-X 소속 가상 인플루언서 26
[표 2-5] 국내외 가상 인플루언서 인스타그램 콘텐츠 28
[표 2-6] 대표 가상 인플루언서 광고 활동 내용 30
[표 2-7] MZ세대 구분 출생년도 기준 34
[표 2-8] 가상 인플루언서의 선행 연구 36
[표 2-9]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 선행 연구 39
[표 3-1] 수용자가 인식하는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에 따른 인식 질문 49
[표 3-2] 연구 참여자의 특성 50
[표 4-1] Five-Factor Model 성격 분류(Costa와 McCrae 자료 재구성) 54
[표 4-2]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에 관한 수용자 인식 설문 결과표 58
[표 4-3]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에 관한 수용자 인식 설문 응답 코딩 59
[표 4-4] 콘텐츠 제작자(에이전시) 인뎁스 인터뷰 주요 답변 61
[표 4-5] 수용자 확보를 위한 전략 65
[표 4-6] 광고주 인뎁스 인터뷰 답변 67
[표 4-7] 광고주 확보를 위한 콘텐츠 제작자 전략 요약 70
[표 5-1] 캐릭터 체크리스트(캐릭터 인벤토리 자료 재구성) 76
[표 5-2] 비언어적 행동 분류 관점에서의 디자인 요소 77
[그림 2-1] 릴 미켈라 인스타그램 콘텐츠 이미지 21
[그림 2-2] 이마 인스타그램 콘텐츠 이미지 23
[그림 2-3] 오로지 인스타그램 콘텐츠 이미지 25
[그림 2-4] 가상 인플루언서 광고 이미지(릴미켈라, 이마, 오로지 인스타그램 이미지 재구성) 32
[그림 2-5] 가상 인플루언서 평가를 위한 특성 43
[그림 3-1] 가상 인플루언서(VI) 이해관계자 구성 48
[그림 4-1] 비언언적 행동 분류 관점(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재구성) 52
[그림 4-2] 패션에 따른 성향 분류 응답 결과표 55
[그림 4-3] 비언언적 요소 중 성향을 파악하는 응답 결과표 56
[그림 4-4] 가상 인플루언서 이해관계자 프레임 워크 73
[그림 5-1]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가상 인플루언서 콘텐츠 제안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