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2
2. 연구 문제 19
3. 선행 연구 19
4. 연구 방법과 구성 23
II. 코칭의 이해 26
1. 코칭의 출현과 확장 26
1.1. 코칭의 출현 26
1.2. 코칭의 확장 32
2. 코칭의 접근 방법 37
2.1. 코칭 프로세스와 모델 37
2.2. 행동중심 접근과 한계 45
2.3. 존재중심 접근의 필요 48
2.4. 행동중심 접근과 존재중심 접근 52
III. 존재중심 접근을 위한 현상학의 적용 55
1. 현상학의 이념과 방법 57
1.1. 현상학의 이념 57
1.2. 현상학의 방법 61
2. 개념적 토대를 위한 현상학의 적용 69
2.1. 존재중심의 사유 69
2.2. 존재구조와 개념 72
2.3. 존재발견의 원리 76
3. 방법적 토대를 위한 현상학의 적용 78
3.1. 존재발견 프로세스 78
3.2. 존재발견 실행원리 82
IV. 현상학적 존재중심코칭의 과정과 기법 88
1. 봄 88
1.1. 봄과 문제본질 88
1.2. 봄의 과정 91
1.3. 봄의 기법 105
2. 앎 109
2.1. 앎과 존재발견 109
2.2. 앎의 과정 112
2.3. 앎의 기법 117
3. 함 123
3.1. 함과 존재행동 123
3.2. 함의 과정 128
3.3. 함의 기법 134
V. 현상학 기반 존재중심코칭의 적용 사례 140
1. 40대 초반 K씨의 사례 143
1.1. 코칭 과정 143
1.2. 코칭 결과 159
2. 30대 중반 C씨의 사례 161
2.1. 코칭 과정 161
2.2. 코칭 결과 183
3. 소결 186
3.1. 본질과 자각 186
3.2. 발견과 통찰 189
3.3. 정렬과 자발성 191
VI. 결론 194
1. 요약 및 결론 194
2. 연구의 시사점 201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204
참고문헌 208
ABSTRACT 222
부록 225
〈부록 1〉 연구 참여자 설명서 225
〈부록 2〉 연구 참여자 동의서 228
〈부록 3〉 코칭 평가서 229
〈표 1〉 코칭의 정의 29
〈표 2〉 코칭의 영역 분류 33
〈표 3〉 학문영역별 코칭 논문 발간 현황 36
〈표 4〉 코칭 프로세스 40
〈표 5〉 프로세스 중심 주요 코칭모델 41
〈표 6〉 코칭 현장의 모델 사용 43
〈표 7〉 존재발견을 위한 현상학의 적용 87
〈표 8〉 봄의 과정 구성과 내용 90
〈표 9〉 앎의 과정 구성과 내용 112
〈표 10〉 함의 과정 구성과 내용 127
〈표 11〉 존재중심코칭 프로세스 141
〈그림 1〉 코칭 영역과 주제별 현황 35
〈그림 2〉 코칭의 진행 과정 38
〈그림 3〉 1차 학습과 2차 학습 49
〈그림 4〉 행동중심코칭과 존재중심코칭의 진행 과정 54
〈그림 5〉 선험적 환원 66
〈그림 6〉 선험적 주관 구조 68
〈그림 7〉 선험적 주관 구조의 구성작용 73
〈그림 8〉 현상학적 존재구조 74
〈그림 9〉 현상학적 환원과 존재발견 프로세스 80
〈그림 10〉 현상학의 본질파악 원리 82
〈그림 11〉 현상학적 존재발견의 절차와 실행원리 84
〈그림 12〉 현상학적 존재중심코칭의 과정 88
〈그림 13〉 구성주의와 계몽주의의 차이점 94
〈그림 14〉 언어와 세계의 구조 96
〈그림 15〉 존재중심코칭의 본질직관 절차 101
〈그림 16〉 존재방식의 형성 111
〈그림 17〉 앎의 과정 111
〈그림 18〉 세포의 자기생산 125
〈그림 19〉 존재중심코칭의 기법 134
〈그림 20〉 K고객의 마음 공간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