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2
2. 연구 문제 19
3. 선행 연구 19
4. 연구 방법과 구성 23
II. 코칭의 이해 26
1. 코칭의 출현과 확장 26
1.1. 코칭의 출현 26
1.2. 코칭의 확장 32
2. 코칭의 접근 방법 37
2.1. 코칭 프로세스와 모델 37
2.2. 행동중심 접근과 한계 45
2.3. 존재중심 접근의 필요 48
2.4. 행동중심 접근과 존재중심 접근 52
III. 존재중심 접근을 위한 현상학의 적용 55
1. 현상학의 이념과 방법 57
1.1. 현상학의 이념 57
1.2. 현상학의 방법 61
2. 개념적 토대를 위한 현상학의 적용 69
2.1. 존재중심의 사유 69
2.2. 존재구조와 개념 72
2.3. 존재발견의 원리 76
3. 방법적 토대를 위한 현상학의 적용 78
3.1. 존재발견 프로세스 78
3.2. 존재발견 실행원리 82
IV. 현상학적 존재중심코칭의 과정과 기법 88
1. 봄 88
1.1. 봄과 문제본질 88
1.2. 봄의 과정 91
1.3. 봄의 기법 105
2. 앎 109
2.1. 앎과 존재발견 109
2.2. 앎의 과정 112
2.3. 앎의 기법 117
3. 함 123
3.1. 함과 존재행동 123
3.2. 함의 과정 128
3.3. 함의 기법 134
V. 현상학 기반 존재중심코칭의 적용 사례 140
1. 40대 초반 K씨의 사례 143
1.1. 코칭 과정 143
1.2. 코칭 결과 159
2. 30대 중반 C씨의 사례 161
2.1. 코칭 과정 161
2.2. 코칭 결과 183
3. 소결 186
3.1. 본질과 자각 186
3.2. 발견과 통찰 189
3.3. 정렬과 자발성 191
VI. 결론 194
1. 요약 및 결론 194
2. 연구의 시사점 201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204
참고문헌 208
ABSTRACT 222
부록 225
〈부록 1〉 연구 참여자 설명서 225
〈부록 2〉 연구 참여자 동의서 228
〈부록 3〉 코칭 평가서 229
〈그림 1〉 코칭 영역과 주제별 현황 35
〈그림 2〉 코칭의 진행 과정 38
〈그림 3〉 1차 학습과 2차 학습 49
〈그림 4〉 행동중심코칭과 존재중심코칭의 진행 과정 54
〈그림 5〉 선험적 환원 66
〈그림 6〉 선험적 주관 구조 68
〈그림 7〉 선험적 주관 구조의 구성작용 73
〈그림 8〉 현상학적 존재구조 74
〈그림 9〉 현상학적 환원과 존재발견 프로세스 80
〈그림 10〉 현상학의 본질파악 원리 82
〈그림 11〉 현상학적 존재발견의 절차와 실행원리 84
〈그림 12〉 현상학적 존재중심코칭의 과정 88
〈그림 13〉 구성주의와 계몽주의의 차이점 94
〈그림 14〉 언어와 세계의 구조 96
〈그림 15〉 존재중심코칭의 본질직관 절차 101
〈그림 16〉 존재방식의 형성 111
〈그림 17〉 앎의 과정 111
〈그림 18〉 세포의 자기생산 125
〈그림 19〉 존재중심코칭의 기법 134
〈그림 20〉 K고객의 마음 공간 146
본 연구는 코칭의 접근 방법론으로써 행동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존재중심의 접근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는 오늘날 코칭 영역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GROW 모델을 비롯한 행동중심 접근을 획일적으로 시도함에 따라 다양한 코칭 목표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일정 수준의 안정된 코칭 효과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코칭의 접근 방법을 고찰하고 행동중심 접근의 한계와 존재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에 존재중심 접근을 위한 개념적, 방법적 토대로써 현상학의 적용 가능성과 타당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현상학을 기반으로 하는 존재중심코칭의 구성과 내용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현장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 영역 확장에 따라 행동중심 접근은 한계를 가지며 이를 극복하려면 존재중심 접근이 필요하다. 행동중심은 관찰 가능한 외부적 목표에 유용한 접근 방식이다. 그러나 삶속의 복잡한 심리, 정서적 문제들은 내면의 관점과 이해에 관한 것이며 주관적 사고와 인식체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존재의 영역이며 따라서 영역 확장에 따른 다양한 코칭 목표를 충족시키려면 존재를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존재중심 접근을 위한 개념적 토대로써, 방법적 토대로써 현상학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현상학은 개념적 토대로써 존재중심 접근의 당위성에 대해, 존재 성격에 대해, 존재 발견의 원리에 대해 각각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방법적 토대로써 존재발견의 프로세스와 실행원리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셋째, 현상학을 기반으로 하는 존재중심코칭은 존재의 봄, 존재의 앎, 존재의 함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현상학의 이념과 방법을 기반으로 과정과 절차가 구성된다. 활용되는 주요 기법 또한 현상학에서 차용된다. 봄의 과정은 현상과 본질에 대해, 앎의 과정은 획득의도와 존재방식에 대해, 함의 과정은 존재행동에 대해 다룬다. 넷째, 존재중심코칭은 다양한 코칭 목표를 만족시키는 포괄적 접근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면의 문제뿐 아니라 외부적 행동 방안 마련에도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임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것은 내부 문제와 외부 문제 모두 행동의 주체자는 고객 자신이며 봄의 과정과 앎의 과정을 통해 존재의 자각과 통찰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존재에 대한 자각과 통찰이 일어남에 따라 문제를 새롭게 규정하고 문제 해소를 경험하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 코치들이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근 도구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방법론에 의한 안정된 효과성 제공으로 고객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학문적으로는 아직 시도된 바 없는 접근 방법론에 관한 연구로써 코칭 연구의 새로운 지평과 시각을 확장시킬 것이다. 또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끌어내는 존재적 방법론으로써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코칭학 정립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