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초록
목차
I. 서론 12
1. 문제 제기 12
2. 선행연구 고찰 19
2.1. 공공신학의 일반적 접근 19
2.2. 한국교회의 공공신학 담론 상황 23
2.3. 공공신학에서 두왕국론에 관한 최근 논의 25
3. 연구 목적 28
4. 연구 방법론 28
II. 한국에서 논해지고 있는 공공신학의 이론적 토대 30
1. 서론 30
2. 공공성과 공공신학 30
2.1. 공공신학의 개념 31
2.2. 공공신학 담론의 종류 41
3. 결론 53
III. 공공신학 모델로서의 두왕국론 55
1. 서론 55
2. 아우구스티누스의 두도성론 55
2.1. 두도성론의 배경 55
2.2. 두도성론과 두 종류의 사랑 57
2.3. 변혁적 모델로서의 두도성론 60
3. 중세로마교회의 양검론 61
3.1. 양검론을 통해 본 교회와 세속군주의 대립 61
3.2. 양검론에 대한 비판: 윌리엄 오컴과 존 위클리프 64
4. 루터의 두왕국론 69
4.1. 중세의 정치와 루터 69
4.2. 루터의 두왕국론에 관한 해석들 74
4.3. 초기 루터: 교회와 국가의 분리 78
4.4. 후기 루터: 교회와 국가의 병존과 협력 80
5. 칼빈의 수정된 두왕국론 82
5.1. 16세기 제네바의 정치적 상황 82
5.2. 제네바 종교개혁의 정치모델로서 두왕국론 85
5.3. 제네바 종교개혁을 위한 기구, 컨시스토리 87
6. 결론 93
IV. 개혁파 공공신학 모델 96
1. 서론 96
2. 아브라함 카이퍼의 공공신학 기획 97
2.1. 19세기 네덜란드의 정치사회적 배경 97
2.2. 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 공공신학 101
2.3. 영역주권사상과 두왕국론 103
3. 헤르만 바빙크의 공공신학 107
3.1. 로마가톨릭과 종교개혁의 이원론 극복 107
3.2. 기독교와 교회의 보편성 109
3.3. 자연법과 두왕국론 111
4. 클라스 스킬더의 공공신학 112
4.1. 문화명령 112
4.2. 그리스도로 회복된 문화적 사명 115
5. 개혁파 공공신학 모델 평가 118
5.1. 문화변혁 모델에 관한 비평 118
5.2. 개혁파 공공신학 모델의 개선 필요성 122
6. 결론 125
V. 한국교회의 공공신학 127
1. 서론 127
2. 한국교회의 공공성과 공적 참여 127
2.1. 한국사회에 나타난 보편성으로서의 공공신학 127
2.2. 한국교회 공공성의 상실 136
3. 한국 근현대사에서 교회의 공적 위치 154
4. 한국교회 공공성의 회복과 갱신 156
4.1. 공공신학적 패러다임 전환 156
4.2. 한국교회를 위한 공공신학 모델의 필요성 157
4.3. 교회의 본질로서의 공공신학 160
4.4. 교회의 소명으로서의 공공신학 164
5. 결론 168
VI. 결론 169
1. 회고(Retrospect) 169
2. 전망(Prospect) 171
참고문헌 173
ABSTRACT 199
그림 1. 아우구스티누스의 두도성론 모델 58
그림 2. 루터의 두왕국론 모델 77
그림 3. 칼빈의 두왕국론 모델 87
그림 4. 한국역사에서 나타난 한국교회의 모습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