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I. 서론 12
제1절 연구 배경 12
1. 경영환경의 변화 12
2. 경영역량의 한계 13
3.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의 필요성 13
4.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의 효율성 14
제2절 연구 목적 15
제3절 연구 범위 16
제4절 연구 방법 17
제5절 논문의 구성 18
II. 문헌 연구 20
제1절 정부의 컨설팅 지원사업 20
1. 중소기업 정부지원사업 개요 20
2.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사업 27
제2절 기업성장지원센터사업 38
1. 컨설팅 사업개요 38
2. 컨설팅 지원내용 및 실적 43
3. 기업성장지원센터사업 성과 및 효과 분석 50
4. 기업성장지원센터사업 만족도 63
제3절 자료포락분석(DEA) 67
1. 효율성의 개념 67
2. DEA 69
3. 정부지원사업의 효율성 선행연구 76
III. 연구 설계 84
제1절 연구 설계 84
1. DMU 선정 84
2. 투입 및 산출변수 정의 88
3. 연구 모형 90
제2절 자료 수집 91
제3절 Data 민감도 분석 92
1. 극단값의 검출 및 분석 92
2. 극단값에 따른 민감도 분석 결과 95
IV. 분석결과 97
제1절 표본의 특성분석 97
1. 기술통계량 97
2. 대응표본 t검정 98
3. 산점도 분석 98
제2절 효율성 분석결과 100
1. DEA 모델별 효율 및 비효율 DMU 분석 100
2. 효율성 개선방안 103
3. 효율·비효율 그룹의 특성 및 성과 분석 110
4. 벤치마킹 112
5. 규모의 효율성 113
제3절 패널(Window) 분석 119
V. 사례 연구 126
제1절 효율성 사례 연구 126
제2절 효율적 DMU의 사례: Y사의 사례 127
1. 컨설팅 지원 기업 개요 127
2. 컨설팅 지원 내용 및 결과 127
3. 효율성 요인 및 시사점 129
제3절 비효율적 DMU의 사례: W사의 사례 130
1. 컨설팅 지원 기업 개요 130
2. 컨설팅 지원 내용 및 결과 131
3. 효율성 요인 및 시사점 132
제4절 효율이 개선된 DMU의 사례: I사의 사례 134
1. 컨설팅 지원 기업 개요 134
2. 컨설팅 지원 내용 및 결과 134
3. 효율성 요인 및 시사점 136
VI. 결론 137
제1절 요약 및 연구의 기여도 137
1. 연구결과 요약 137
2. 연구의 기여도 139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40
참고문헌 141
부록 149
1. DMU별 투입 및 산출(2017) 149
2. 투입방향 CCR 포락모형 여유분 150
2-1. 투입방향 BCC 포락모형 여유분 151
2-2. 투입방향 FDH 포락모형 여유분 152
3. CCR, BCC 및 규모효율성(투입방향) 153
3-1. CCR,BCC 및 규모효율성(산출방향) 154
4. 투입/산출 방향 BCC모형의 효율성과 규모에 대한 수확 상태 155
5. Window 분석결과 - 기간별(BCC) 156
6. 전체 집단의 연도별 효율성 변화(시점별) 159
7. 극단값 제거 전과 후의 효율성 점수 변화 163
ABSTRACT 164
〈표 1〉 중소기업 지원사업 분야 22
〈표 2〉 컨설팅 관련 정의 29
〈표 3〉 해외 중소기업 관련 컨설팅 지원 제도 31
〈표 4〉 정부지원 컨설팅 사업 34
〈표 5〉 컨설팅 지원사업의 성과지표 37
〈표 6〉 기업성장지원센터사업 규모 및 대상지역 42
〈표 7〉 기업성장센터 사업내용 43
〈표 8〉 기업애로해결 지원실적 45
〈표 9〉 기업역량강화교육 지원실적 46
〈표 10〉 정책 및 금융 연계실적 46
〈표 11〉 추진 주체별 업무수행 47
〈표 12〉 2015 ~ 2017년 연차평가 지표 49
〈표 13〉 지원 전후 기술적 성과 52
〈표 14〉 지원 전후 경제적 성과 52
〈표 15〉 지원 기간별 특허 보유건 수 53
〈표 16〉 지원 기간별 기술 이전건 수 53
〈표 17〉 지원 기간별 R&D 인력 수 53
〈표 18〉 지원 기간별 매출액 54
〈표 19〉 지원 기간별 영업이익 54
〈표 20〉 지원 기간별 총자산 54
〈표 21〉 지원 규모별(매출액) 특허보유 건수 55
〈표 22〉 지원 규모별(매출액) 기술이전 건수 55
〈표 23〉 지원 규모별(매출액) R&D 인력 수 55
〈표 24〉 지원 규모별(매출액) 매출액 56
〈표 25〉 지원 규모별(매출액) 영업이익 56
〈표 26〉 지원 규모별(매출액) 총자산 56
〈표 27〉 PSM 매칭조건 58
〈표 28〉 중점육성기업 PSM 분석대상 업종별 분포 58
〈표 29〉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간 총매출액 추세 비교 59
〈표 30〉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 간 영업이익 추세 비교 60
〈표 31〉 중점육성기업 편익(성과액) 성과유형 구분 61
〈표 32〉 연도별 중점육성기업 비용편익분석 대상 과제 수 62
〈표 33〉 중점육성기업 재무적·비재무적 성과 62
〈표 34〉 중점육성기업 단기육성과제 비용편익(B/C) 63
〈표 35〉 조사대상별 조사 항목 64
〈표 36〉 센터별 사업 만족도 64
〈표 37〉 중점육성기업 항목별·센터별 만족도 65
〈표 38〉 일반기업 항목별·센터별 만족도 66
〈표 39〉 정부지원사업 관련 DEA 모델 적용 사례 83
〈표 40〉 데이터 설계 86
〈표 41〉 표본에 대한 기초 데이터 분석 87
〈표 42〉 투입 및 산출변수의 정의 89
〈표 43〉 39개 DMU의 투입변수 및 산출변수 자료 92
〈표 44〉 다변량 극단값 DMU 94
〈표 45〉 극단값 제거 전후의 효율성 점수 및 상관관계 95
〈표 46〉 기술통계량 97
〈표 47〉 대응표본 t검정 98
〈표 48〉 대응표본 상관계수 98
〈표 49〉 DEA 모델별 효율성 분석 101
〈표 50〉 투입방향 CCR 포락모형 기준, 변수의 여유값 분석 104
〈표 51〉 개별 DMU의 준거집단 및 최적 투입요건 산출 107
〈표 52〉 CCR 모형 그룹별 투입변수의 투입실적 및 최적 비율 비교 109
〈표 53〉 컨설팅 유형별 성과 111
〈표 54〉 DEA 분석에 따른 준거집단 112
〈표 55〉 CCR, BCC 및 규모 효율성(투입방향) 115
〈표 56〉 투입방향 규모에 대한 수확 상태 116
〈표 57〉 윈도우 분석을 통해 얻게 되는 효율성 점수 120
〈표 58〉 Window 분석 결과 120
〈표 59〉 전체 집단의 연도별 효율성의 변화 125
〈그림 1〉 연구 흐름도 19
〈그림 2〉 연도별 투입예산 42
〈그림 3〉 연도별 투입인력 42
〈그림 4〉 중점육성기업 지원실적 44
〈그림 5〉 중점육성기업 육성 프로세스 44
〈그림 6〉 연도별 기업애로 해결실적 45
〈그림 7〉 기업성장지원센터 선정평가 프로세스 48
〈그림 8〉 정부지원사업의 수혜기업 성과비교 57
〈그림 9〉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 간 총매출액 추세 59
〈그림 10〉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 간 영업이익 추세 60
〈그림 11〉 연도별 사업 만족도 65
〈그림 12〉 중점육성기업 분야별 만족도 66
〈그림 13〉 일반기업 분야별 만족도 67
〈그림 14〉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과 가변에서의 효율성 70
〈그림 15〉 연구모형 91
〈그림 16〉 다변령 극단값 검출 결과 94
〈그림 17〉 경험확률 분포의 변화 96
〈그림 18〉 산점도 분석 99
〈그림 19〉 DMU의 효율성 분포(CCR) 103
〈그림 20〉 DMU의 효율성 분포(BCC) 103
〈그림 21〉 투입 및 산출방향에 따른 규모에 대한 수확상태 114
〈그림 22〉 규모에 대한 수확상태에 따른 투입과 산출 요소의 관계 118
〈그림 23〉 DMU의 기간별 효율성 변화 121
〈그림 24〉 DMU의 연도별 효율성 점수 122
〈그림 25〉 DMU별 효율성 점수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