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15
2. 연구의 목적 18
3. 연구 가설 18
4. 연구의 제한점 20
5. 용어의 정의 20
II. 이론적 배경 23
1. 야구 타격에 관한 연구 23
1) 타격 동작 23
2) 야구 타격에서의 운동정보처리능력 25
2. 시지각 30
1) 야구 타격 수행 시 필요한 시지각 능력의 종류 30
2) Frostig의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Frostig, 1964) 36
3. 지적 장애 41
1) 지적 장애 정의 및 진단 기준 41
2) 우리나라의 지적 장애 판정 기준 43
3) 지적 장애 아동의 시지각 특성 44
4. 자폐 범주성 장애 45
1)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정의 및 진단 기준 45
2) 우리나라의 자폐 범주성 장애 판정 기준 52
3)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시지각 특성 52
III. 연구 방법 56
1. 연구 대상자 56
2. 실험설계 58
3. 실험 과제 및 검사 도구 59
1) 시지각 능력 향상을 위한 야구 타격 훈련 60
2)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69
4. 자료 처리 및 분석 75
IV. 연구 결과 76
1. 시지각 하위검사 76
1) 눈-손 협응 76
2) 공간위치 79
3) 따라그리기 81
4) 도형-배경 83
5) 공간관계 85
6) 시각통합 87
7) 시각-운동속도 89
8) 형태향상성 92
2. 종합척도 지수 94
1) 운동-감소 시지각 지수 94
2) 시각-운동 통합지수 96
3) 일반 시지각 지수 99
V. 논의 102
1. 시지각 능력 102
1) 눈-손 협응 104
2) 공간위치 105
3) 따라그리기 107
4) 도형-배경 108
5) 공간관계 110
6) 시각통합 111
7) 시각-운동속도 112
8) 형태향상성 113
9) 운동-감소 시지각 지수 115
10) 시각-운동 통합 지수 116
11) 일반 시지각 지수 117
VI. 결론 및 제언 120
1. 결론 120
2. 제언 121
참고문헌 122
그림 1. 실험 단계 59
그림 2. 검사시점별 눈-손 협응 평균점수의 변화 77
그림 3. 검사시점별 공간위치 평균점수의 변화 79
그림 4. 검사시점별 따라그리기 평균점수의 변화 81
그림 5. 검사시점별 도형-배경 평균점수의 변화 83
그림 6. 검사시점별 공간관계 점수의 변화 85
그림 7. 검사시점별 시각통합 점수의 변화 87
그림 8. 검사시점별 시각-운동속도 점수의 변화 90
그림 9. 검사시점별 형태향상성 점수의 변화 92
그림 10. 운동-감소 시지각 표준지수 실험집단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94
그림 11. 운동-감소 시지각 표준지수 통제집단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95
그림 12. 시각-운동 통합지수 표준지수 실험집단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97
그림 13. 시각-운동 통합지수 표준지수 통제집단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97
그림 14. 일반 시지각 지수 표준지수 실험집단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99
그림 15. 일반 시지각 지수 표준지수 통제집단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10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