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아의 아침결식 실태와 아침결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영아의 건강한 성장발달과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아침식사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영아의 개인특성과 가족특성에 따른 아침결식 실태를 살펴보고 아침결식 여부에 따른 발달영역별(신체, 사회-정서, 기본생활, 언어, 인지)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어린이집 영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BMI(체위))과 가족 특성(부모 연령, 부모 학력, 부모의 아침결식 여부) 및 영아의 아침결식 여부가 영아발달(신체, 사회-정서, 기본생활, 언어,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마포구에 소재한 57개의 가정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 307명의 학부모와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담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합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통계프로그램에서 빈도, 백분율, 기술통계, 교차분석, t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영아 중 일주일동안 평균 아침식사 횟수가 5회 이하인 결식군과 6회 이상인 비결식군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영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아침결식 실태를 살펴본 결과, 여아보다 남아의 결식군 비율이 더 높았으며 결식군과 비결식군 간에 연령 차이는 없었다. 영아의 BMI지수(체위)는 결식군과 비결식군 다 정상범위이기는 하나 비결식군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영아의 가족특성에 따른 아침결식 실태를 살펴본 결과 핵가족에서는 결식군 영아의 비율이, 대가족에서는 비결식군 영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결식 여부에 따라 영아의 아침결식 실태에 차이가 나타나 아버지나 어머니가 결식군일 경우에는 영아도 결식군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아버지나 어머니가 비결식군일 경우에는 영아도 비결식군에 속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가 아침을 안 먹는 이유로 '입맛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아침에 늦게 일어나서', '부모가 챙겨 주지 못해서', '습관적으로'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식습관 중 편식 정도는 결식군은 '편식이 심하다'는 응답이, 비결식군은 '조금 편식 한다'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부모가 인식하는 아침식사의 중요성도 결식군과 비결식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 비결식군 영아의 부모가 결식군 영아의 부모에 비해 아침식사를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영아의 아침결식여부에 따라 영아발달(신체, 사회-정서, 기본생활습관, 언어, 인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을 제외한 신체발달, 사회-정서 발달, 기본생활습관, 인지발달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결식군보다 비결식군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기본생활습관, 인지발달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개인적 특성(성별, 체위) 및 가족특성(부모의 연령, 학력, 아침결식 여부)과 아침결식 여부가 영아의 발달(신체, 사회-정서, 기본생활습관, 언어,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아침결식 여부는 신체발달, 기본생활습관,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아버지의 아침결식 여부는 신체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아침결식 여부는 영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기본생활습관,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가 비결식군일 때 신체발달, 기본생활습관, 인지발달이 높게 나타나며, 아버지가 비결식군일 때 영아의 신체발달이 높은 경향을 보이며 어머니가 비결식군일때 영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기본생활습관, 언어발달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의 아침결식 실태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아침결식이 영아발달(신체, 사회-정서, 기본생활습관, 언어,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과 영아의 개인특성, 가족특성 및 아침결식여부와 영아발달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영아기의 올바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 형성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아의 전인적인 발달과 복지를 위해 아침식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정과 어린이집이 연계한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