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제1장 서론 10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4

제1절 밥상머리 교육 14

1. 밥상머리 교육의 의의 14

2. 밥상머리 교육의 필요성 15

3. 밥상머리 교육의 사례 17

제2절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 25

1. 사회성의 개념 25

2.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 26

3. 사회성의 구성요소 28

제3절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 36

1. 도덕성의 개념 36

2.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 38

3. 도덕성의 구성요소 40

제4절 밥상머리 교육과 청소년의 발달 48

제3장 연구문제 및 용어의 정의 50

제1절 연구문제 50

제2절 용어의 정의 50

1. 밥상머리 교육 50

2. 사회성 50

3. 도덕성 51

제4장 연구방법 52

제1절 연구대상 52

제2절 연구도구 54

제3절 연구절차 55

제4절 자료분석방법 55

제5장 연구결과 및 해석 56

제1절 중학생의 밥상머리 교육 실태 56

제2절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성·도덕성 발달 차이 61

1.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차이 61

2.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른 도덕성 발달 차이 62

제3절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성·도덕성 발달 차이 63

1.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차이 63

2.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른 도덕성 발달 차이 64

제4절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성·도덕성 발달 차이 66

1.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차이 66

2.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도덕성 발달 차이 67

제6장 결론 및 논의 68

참고문헌 71

부록 83

Abstract 88

표목차

〈표 2-1〉 가족과의 정기적인 식사 여부 24

〈표 2-2〉 항목별 정기적인 식사 여부에 대한 긍정응답 비율 24

〈표 2-3〉 사회성의 구성요소 29

〈표 2-4〉 자율성에 따른 동기유형 34

〈표 2-5〉 도덕성의 구성요소 41

〈표 4-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3

〈표 4-2〉 사회성 설문구성 54

〈표 4-3〉 도덕성 설문구성 55

〈표 5-1〉 밥상머리 교육 여부 56

〈표 5-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밥상머리 교육 여부 57

〈표 5-3〉 밥상머리 교육 지속기간 58

〈표 5-4〉 밥상머리 교육 횟수 58

〈표 5-5〉 밥상머리 교육시간 59

〈표 5-6〉 밥상머리에서 하는 주요 대화 60

〈표 5-7〉 밥상머리 대화 유무 61

〈표 5-8〉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차이 62

〈표 5-9〉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른 도덕성 발달 차이 63

〈표 5-10〉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차이 64

〈표 5-11〉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른 도덕성 발달 차이 65

〈표 5-12〉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차이 66

〈표 5-13〉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도덕성 발달 차이 67

그림목차

[그림 2-1] 밥상머리 교육의 효과 16

[그림 2-2] 가족과의 저녁식사 횟수와 학업성적 18

[그림 2-3] 아키타의 초등학생이 가족과 식사하는 비율 18

[그림 2-4] 가족과의 식사횟수와 담배, 술, 약물사용의 관계 19

[그림 2-5] 청소년 식생활조사 II 21

[그림 2-6] 가족 저녁식사 횟수와 가족유대감 22

[그림 2-7] 가족식사 횟수에 따른 가족 응집성 23

초록보기

이 연구는 중학생의 밥상머리 교육 실태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라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정에서 밥상머리 교육이 이루어지는 중학생의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이 밥상머리 교육 시간과 교육 횟수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도 의정부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t 검정,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밥상머리 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70%정도가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경우 교육 지속기간이 9년 이상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60% 정도로 나타났고, 절반 정도가 주 5회 이상, 한 번에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의 주제는 일상생활과 학교생활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밥상머리 교육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성과 도덕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중학생이 사회성 전체는 물론 모든 하위영역 즉 안정성, 활동성, 사교성, 자율성, 지배성에서 밥상머리 교육을 받지 않은 중학생에 비해 발달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중학생이 도덕성 전체와 하위영역 중 준법성, 건전성, 친절성에서 밥상머리 교육을 받지 않은 중학생에 비해 발달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밥상머리 교육을 받은 중학생 간에 교육 시간에 따른 사회성과 도덕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른 사회성 발달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 시간에 따라 도덕성의 하위 영역 중 준법성과 책임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준법성과 책임성 모두 2시간 이상 교육을 받은 집단의 발달수준이 1시간 미만 교육을 받은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사회성과 도덕성의 발달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에서는 하위 영역 중 활동성만 주당 밥상머리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밥상머리 교육 횟수에 따른 도덕성 발달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도덕성 전체와 하위영역 중 준법성, 책임성, 친절성에서 주 1~2회 교육을 받은 집단과 주 5회 이상 교육을 받은 집단이 주 3~4회 교육을 받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밥상머리 교육이 중학생의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 오는가를 확인한 것으로 밥상머리 교육이 중학생들의 사회성과 도덕성 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